암세포 공격 ‘자연살해세포’ 감소원리 규명

일반입력 :2013/09/15 16:58

정윤희 기자

국내 연구진이 암 환경에서의 ‘자연 살해 세포’ 감소 기전을 규명했다. 이를 통해 암 세포를 공격하는‘자연 살해 세포’가 감소되는 것을 막아 암 치료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강창율 교수와 박영준 박사(제1저자) 연구팀이 수행한 해당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가 추진하는 공공복지안전연구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연구결과는 미국 암학회가 발간하는 캔서 리서치(Cancer Research)의 15일자 온라인판에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자연 살해 세포’는 암의 성장을 늦추는 생체 내 중요한 방어기제 중 하나다. ‘자연 살해 세포’의 기능 및 수가 유지될 때 항암 치료를 받은 암 환자의 예후가 개선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암이 진행됨에 따라 암 성장을 억제하는 ‘자연 살해 세포'가 감소하는 것과는 반대로 미분화 골수성 세포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에 주목했다. 실제 연구진은 암에 걸린 실험용 쥐에서 ‘자연 살해 세포’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으며, ‘자연 살해 세포’가 미분화 골수성 세포로 변하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규명했다.

연구진은 암 환경에서 분리한 ‘자연 살해 세포’를 암에 걸린 실험용 쥐에 주입했을 때, 암 성장을 억제하는 본래의 성질을 잃고 미분화 골수성 세포로 변하는 것을 확인했다.

관련기사

이를 토대로 ‘자연 살해 세포’를 활성화하는 체내 단백질의 일종인 IL-2를 암이 걸린 실험용 쥐에 주입했을 때 ‘자연 살해 세포’가 미분화 골수성 세포로 변화하는 것을 막아, 암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강창율 서울대 교수는 “연구를 통해 IL-2의 새로운 항암 기능을 밝힘으로써, 항암치료법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