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모바일 보안 국제표준’ 주도권 확보

일반입력 :2012/09/18 09:12

방송통신위원회 국립전파연구원은 ITU-T 정보보호 연구반(SG 17) 9월 회의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다중 인증 메커니즘’에 관한 국제 표준화를 우리나라 주도로 추진하게 됐다고 18일 밝혔다.

전파연구원 측은 “회의에서 우리나라가 제안한 해당 인증방법 표준화를 MS를 비롯한 산업체와 연구기관으로부터 지지를 받았으며 미국, 캐나다, 중국 등 대다수의 ITU 회원국이 이를 승인했다”며 “표준개발을 주도하게 될 에디터로 염흥렬 순천향대 교수가 임명돼 우리나라가 개발한 모바일 보안 기술을 국제표준으로 적극 반영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ITU에서 에디터는 신규 표준화 대상이 채택된 뒤 국제 표준이 개발이 완료될 때까지 표준의 내용초안 마련 등 국제 표준 개발을 주도적으로 추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ITU는 2015년까지 다양한 인증 메커니즘들을 복합적(아이디‧패스워드+공인인증서, 아이디‧패스워드+보안토큰, 아이디‧패스워드‧바이오토큰 등)으로 결합 구현하기 위한 다중 인증 메커니즘 표준을 개발할 예정이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