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통신요금, 데이터 위주로 간다…국내는?

일반입력 :2012/07/19 14:00

정윤희 기자

미국 이동통신 요금이 데이터 위주로 재편되는 추세다. 지난달 미국 내 최대 이통사 버라이즌이 ‘쉐어 에브리싱(Share Everything)’ 요금제를 내놓은데 이어 2위 사업자 AT&T까지 가세했다.

국내 이통사들도 미국의 요금 개편에 주목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데이터 중심 요금제 개편에 대한 이통사들의 요구가 잇따르는 가운데 버라이즌의 신규 요금제를 모델로 꼽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에는 향후 통신비 과금체계가 데이터 위주로 전환될 것이라는 패러다임의 변화가 깔려있다. 더 이상 음성통화가 이통사의 주요 수익원이 될 수 없다는 위기감의 방증이기도 하다.

같은 맥락으로 지난 5월 랜달 스티븐슨 AT&T CEO는 “30달러짜리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를 내놓은 것을 가장 후회한다”는 발언을 내놨다. 모바일 메신저, 모바일 인터넷전화(m-VoIP) 등의 등장으로 이통사의 음성통화와 문자메시지 수익이 감소하는 상황에서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가 부담이 됐다는 설명이다.

■美 이통사 “데이터로 가야 산다”

씨넷 등 주요 외신은 AT&T가 18일(현지시간) 데이터 중심의 ‘모바일 쉐어(Mobile Share)’ 요금제를 내놨다고 보도했다.

해당 요금제는 기본적으로 버라이즌과 유사하다. 데이터 제공량을 기준으로 요금을 책정하고 음성통화와 문자메시지는 무제한으로 제공하는 방식으로, 1기가바이트(GB)부터 20GB까지 총 6개 요금제다. 버라이즌의 경우 좀 더 촘촘하게 설계해 1GB부터 20GB까지 11개 요금제로 구성됐다.

양사 모두 하나의 요금제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가족, 친구 등과 공유 가능하다. 최대 10대까지 같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다만 매달 기기 연결 요금이 추가된다. AT&T의 경우 해당 요금은 요금제에 따라 다르며 스마트폰을 기준으로 했을 때 1GB 경우 45달러, 4GB 40달러, 6GB 35달러, 10GB 이상은 30달러다. 버라이즌은 요금제 관계없이 모두 40달러다. 즉, 스마트폰 한 대로 1GB 요금제를 쓸 경우 버라이즌은 90달러, AT&T는 85달러의 요금이 나오는 셈이다.

여기에 기기가 추가되면 일반 휴대폰은 30달러, 노트북이나 넷북, USB카드는 20달러, 태블릿PC는 10달러를 더 내야 한다.

버라이즌과 AT&T는 해당 요금제가 가입자당 평균매출(ARPU)을 올리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매출이 감소하더라도, 장기적으로는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 확산을 돕고 가정의 무선 데이터 사용량을 늘릴 것이라는 설명이다.

■국내도 데이터 위주로…논의 급물살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다. 최근 m-VoIP 논란과 맞물려 데이터 중심의 요금제 개편에 대한 요구가 뜨겁다. 이통사들은 모바일 트래픽이 폭증하고 음성통화 수익은 줄어드는 현 상태가 지속된다면 네트워크 투자재원이 감소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 국내 이통사들의 요금 수익구조는 음성 70%, 데이터 30%의 비율이다. 데이터 요금이 음성에 비해 낮게 책정돼 있기 때문이다. 현재 음성통화 요금은 초당 1.8원, 데이터 요금은 0.5킬로바이트(KB)당 0.025원이다.

정태철 SK텔레콤 전무는 “우리나라 데이터 요금은 전 세계에서도 유례없이 낮게 설정된 상태”라며 “향후 음성 요율은 낮추고 데이터 요율은 올리는 방식으로 요금제 리밸런싱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김희수 KT 경제경영연구소 상무 역시 “모든 서비스가 데이터망에서 처리되는 All-IP 환경으로 진화하면서 필연적으로 음성 비중은 줄어들고 데이터 비중은 늘어날 수밖에 없다”며 “이러한 트렌드를 반영한 것이 미국 버라이즌이 내놓은 요금제”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현 상황에서 당장 데이터 중심 요금제를 내놓기는 쉽지 않다는 점이다. 국내 이통시장 상황이 미국과 다르고 통신요금에 대한 민감도가 높기 때문이다.

일례로 데이터 중심 요금제에 동일 패킷, 동일 과금 원칙을 적용한다면 1시간짜리 영화를 보는데 50만원 가까이 되는 데이터 요금을 내야하는 상황이 벌어진다. 음성 1분의 패킷과 영상 1분의 패킷은 75배 이상 차이난다.

관련기사

때문에 방송통신위원회 역시 데이터 중심 요금제 도입을 검토하며 해외 동향을 파악 중이지만 쉽사리 결론을 내리지는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정 전무는 “이용자가 요금제에 대해 수용할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과 통신 정책의 변화가 병행돼야 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요금제 리밸런싱은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지금은 과도기적 조치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