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개인정보통합 논란 “피할 수 없다면...”

알마 휘튼 구글 개인정보보호 부문 총괄 디렉터

일반입력 :2012/03/01 13:33    수정: 2012/03/01 13:50

정현정 기자

구글이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우려와 정부의 개선 권고에도 불구하고 3월1일 오늘부터 새로운 개인정보 관리방침을 적용한다.

지난 1월24일 구글이 발표한 새로운 개인정보취급정책은 구글이 운영하는 70여개 서비스의 사용자 정보를 통합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구글은 ‘개인정보보호정책 간소화’와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의 제공’을 명분으로 들고 나왔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이용자의 민감한 개인정보가 구글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전 세계로 확산됐다.

논란이 확대되자 우리 정부도 구글에 대해 개인정보의 활용 목적을 이용자에게 충분히 알리고 동의를 받으라는 내용을 골자로 몇 가지 개선방안을 권고했다. 그럼에도 구글은 일단 “예정대로 고(Go)”를 외쳤다. 이번 정책개정을 통해 변화되는 것은 사실 거의 없으며 이러한 오해를 풀기 위해 한국 정부와도 지속적으로 대화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정책 시행을 몇 일 앞둔 지난 27일 저녁 화상을 통해 알마 휘튼(Alma Whitten) 구글 개인정보보호 부문 총괄 디렉터를 만났다. 휘튼 박사는 보안 전문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2003년 구글에 입사했으며 현재 엔지니어링과 제품 부문의 개인정보보호 관련 업무를 총괄하는 팀을 이끌고 있다.

휘튼 박사는 “구글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접근 방식은 절대로 변하지 않았다”는 점을 첫 마디로 강조했다. 구글은 이용자로부터 새롭거나 추가적인 정보를 수집하지 않으며 구글이 어떤 경우에도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외부에 판매하지 않는다는 점도 분명히했다.

이와 함께 구글이 강조하고 나온 것은 사용자들 역시 구글의 보안 도구를 통해 자신의 정보에 대한 통제와 선택권을 갖게된다는 점이다. 이제 이용자가 자신의 프라이버시를 지키고자 하는 이용자라면 스스로 이를 파악하고 관리하는데 조금 더 노력을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는 말이다. “피할 수 없다면 선택하고 통제하라”는 제안으로 들린다.

디지털 시대에서 개인정보보호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지만 개인정보보호와 맞춤화 서비스는 늘 충돌할 수 밖에 없다. 또, 이용자가 기대하는 개인정보 보호의 수준도 다를 수 밖에 없다. 때문에 구글은 이용자의 선택권과 통제권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휘튼 총괄은 “구글은 이번 개인정보보호정책 개정을 통해 개인정보보호 정책을 간소화했지만 사용자의 선택 및 통제 도구를 더욱 강화하고 확대할 계획”이라면서 “이런 통제와 선택을 통해 사용자들이 진정 원하는 방식으로 구글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녀는 구글이 준비한 몇 가지 도구를 소개했다. 로그인 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도 많으며, 로그인한 사용자들은 자신이 어떤 서비스를 사용하고 어떤 정보를 저장하며 어떤 광고를 볼 것인지를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로그인을 하지 않는 것이다. 구글 검색, 유튜브 등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로그인을 하지 않아도 정상적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다만 개인화 검색 서비스나 맞춤형 검색결과 제공은 받을 수 없다.

사용자가 원한다면 하나 이상의 계정을 생성해 서비스 별로 다른 계정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멀티플 로그인’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글은 ‘계정 전환’ 메뉴를 통해 다수의 계정으로 구글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놨다.

더 이상 구글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지 않을 때는 ‘데이터 자유화 도구’를 이용해 언제든지 구글에 저장된 자신의 모든 정보를 빼갈 수 있다. 구글은 이용자들이 쉽고 편하게 데이터를 가지고 갈 수 있는 ‘데이터 테이크 아웃’이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로그인한 상태로 구글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을 위한 다양한 ‘개인정보 관리도구’도 제공된다. 대표적인 것이 구글 ‘대시보드(google.com/dashboard)’다. 대시보드 메뉴를 이용하면 구글+, 유튜브, 지메일 등 각 서비스별로 저장된 사용자의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수정하고 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글 계정에 로그인 돼있는 동안 검색하는 사용자들을 위한 ‘웹 기록 관리(google.com/history)’ 도구도 있다. 구글은 관련성 높은 검색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웹 검색 기록을 추적한다. 웹기록 관리 메뉴에 들어가면 어떤 내용이 기록돼있는지 볼 수 있으며 특정 검색 기록을 삭제하거나 모든 기록을 다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크롬 브라우저 내에서도 개인정보 추적을 할 수 없는 장치가 마련돼 있다. 크롬 ‘시크릿창 모드’를 클릭하면 그 안에서 사용자의 쿠키와 웹 기록 등 웹 활동에 대한 어떤 기록도 남지 않는다.

휘튼 박사는 이 같은 서비스의 목적에 대해 “사용자가 서비스를 사용하는 방식을 완전히 통제할 수 있다는 느낌을 받게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개개인마다 어떤 정보를 보호하고 싶고 어느 정도를 제공해도 괜찮은지 각각 다른 기준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관련기사

아직 구글에 대한 ‘빅브라더’ 논란은 해소되지 않았다. 이용자들은 “구글이 나에 대해 너무 종합적으로 많이, 잘 알게 되는게 아니냐”는 불안감을 가질 수 밖에 없다. 구글은 이러한 우려에 대해 “사용자들에게 최대한 편리하게 강력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할 수 있게 된다”고 애둘러 표현했다.

하지만 구글의 이번 개인정보통합정책으로 이제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가로 프라이버시에 대한 우려가 수반돼야 한다는 점은 분명해졌다. 물론 구글의 말처럼 개인정보를 제공하면 ‘놀라운 맞춤형 서비스’가 반대급부로 제공된다는 옵션도 생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