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A 손상 세포 유사분열 종결 절차 규명

일반입력 :2012/01/17 11:44

송주영 기자

세포분열에서 복제된 염색체를 분배하는 과정인 ‘유사분열’을 종결시키는 생화학적 조절 절차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

17일 교육과학기술부는 연세대학교 생화학과 송기원 교수팀이 효모를 이용해 종결기전을 조절하는 세포 내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규명해 냈다고 밝혔다.

유사분열 종결기전은 체세포의 분열로 만들어진 딸세포가 추가적인 세포분열을 종결하고 유전체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핵심과정이다. 세포가 유전체의 손상을 받는 등 유전체의 안정성을 위협하는 작용이 있을 경우 세포는 유전체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유사분열의 종결을 억제한다.

이때 유사분열의 종결이 그대로 진행되면 딸세포의 DNA가 손상되며 결과적으로 암과 같은 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

그동안 유전체의 안정성이 위협받는 경우의 유사분열 종결 억제기전은 몇몇 연구그룹에 의해 보고돼 있었으나, 정상 분열에서 종결기전의 조절은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송 교수팀은 신호전달계의 스위치로 작용하는 단백질(Bfa1)의 4개 아미노산기가 특정 인산화효소에 의해 인산화되고 이 때문에 세포내 위치변화가 유발되어 유사분열의 시기가 조절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결과적으로 세포에 유전체의 안정성이 위협받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서로 다른 기전에 의해 유사분열의 종결과 시기가 섬세하게 조절될 수 있음을 제시했다.

관련기사

송 교수는 “연구 결과는 생명 유지의 핵심과정인 세포분열의 새로운 조절 기전을 규명한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 세포분열 이상으로 야기되는 현상인 암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응용 기술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는 ‘21세기프론티어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연구결과는 유전학계의 세계 최고 권위 학술저널인 ‘PLoS 제네틱스'지 12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