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버는 클라우드를 위한 SI업체의 고민

일반입력 :2011/02/22 14:24    수정: 2011/02/22 17:52

클라우드 컴퓨팅은 IT서비스 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클라우드가 성장 엔진이 될 것이란 관측도 있지만 일각에선 클라우드로 인해 IT서비스 업체들의 존재감이 약해질 수 있다는 비관론도 만만치 않다.

현재 국내의 클라우드 컴퓨팅, 특히 외부를 상대로 IT인프라를 판매하는 퍼블릭 클라우드 이슈는 통신 업체들이 주도하는 듯 하다. KT 등 거대 통신 업체들은 준비단계부터 마케팅 파워를 쏟아부었고, 어느정도 대중적인 인지도를 확보했다는 평가다.

클라우드 컴퓨팅이 통신 업체들의 전유물일 수많은 없을터. 국내 IT서비스 기업들도 클라우드를 놓고 저마다 주판알 튕기기에 한창이다. SK C&C의 경우 수익성을 갖춘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골몰하는 모습이다. 손영윤 SK C&C 클라우드컴퓨팅사업본부 차장도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프라가 중요한 게 아니라 산업과 엮여 돈을 벌 수 있는 진짜 비즈니스를 찾아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인프라만 갖춰놨다고 돈이 그냥 벌리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었다. 국내 IT서비스 회사들은 수년전부터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화에 공을 들였다. 그만큼 돈도 많이 들였다. SK C&C도 마찬가지. 뜬구름같은 말을 넘어, 실제 사업을 준비해야할 시점이다.

“이제 인프라는 어느 정도 갖춰졌다는 평가를 듣습니다. 오픈소스 기반으로 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인프라 구축이 마무리 단계입니다. 역량은 이미 보유했다는 거죠. 이미 사내에 클라우드 인프라를 시범 적용중이고 향후 그룹사 통해서 대외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SK C&C 클라우드 컴퓨팅 비즈니스는 현재 사업모델을 준비중인 단계다. 수차례 보도된 대로 SNS 분석도구, 스마트 그리드 등 대용량 데이터 분석에서 사업 모델을 모색중이다. 왜 데이터 분석에 주목했을까?

“가끔 있는 대용량 데이터 분석작업을 위해 기업들이 IT인프라를 확충하긴 어렵습니다. 때문에 클라우드 인프라를 찾는거죠. 반면, 단순한 IT자원대여사업은 박리다매기 때문에 우리에겐 메리트가 없습니다. 그러니 분석업무 자체를 우리가 대신해 수익성을 높이겠다는 겁니다.”

한 기업에겐 데이터분석업무가 어쩌다 생기는 업무지만 이 수요들을 외부의 특정회사가 모을 수 있다면 승부를 걸만하다. 특히 이미 IT인프라를 클라우드로 구축하면서 쌓은 노하우를 솔루션과 서비스와 결합한다면 경쟁력이 클 듯하다.

“하둡같은 분산컴퓨팅 기술을 이용해 복잡한 네트워크를 빠르게 분석하면서도 확실한 성과를 낼 수 있습니다. 우리가 직접 만든 시스템이니 당연히 전문성도 있죠. 방대한 데이터를 모아서 실제 사업에 유용한 콘텐츠로 만든 것이 우리의 역할입니다.”

SNS와 스마트 그리드는 초단위로 정보를 만들어낸다. 안그래도 정보가 넘쳐나는 인터넷과 기업 네트워크에 정보가 범람하는 것이다. 이를 유용하게 만들려면 다듬는 작업이 필수다. 특히 스마트 그리드는 전력정보를 모아 지능형 전력망을 만드는 것인 만큼 데이터 관리가 중요하다.

“스마트 그리드는 SK C&C가 국책과제로 참여중인 사업입니다. 무엇보다 스마트 그리드는 초단위로 전력 운용과 관련한 정보가 생성됩니다. 그 속에서 의미 있는 데이터를 끄집어내야 진정한 스마트 그리드가 되는거죠. 복잡한 네트워크를 빠르게 분석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전통적인 IT서비스업체에게 클라우드 컴퓨팅은 위협요소다. 기업들이 클라우드 컴퓨팅을 대거 도입할 경우 SI사업이 사라질 수도 있다. 손영윤 차장도 클라우드가 IT서비스를 대체하는 콘셉트란 점에 동의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IT서비스를 대체하는 위험성을 갖고 있습니다. 비용이 낮아지기 때문에 IT서비스업체의 입김도 약할 수 있고, IT관련 종사자의 견제도 심할 겁니다. 그러나 다들 클라우드 컴퓨팅이 궁극적으로 맞는 방향이라 판단하기 때문에 미리 가서 기다려야 한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준비해놓고 기다릴 때 악영향이 적을 것이란 생각이지요.”

국내 IT서비스업체의 비즈니스 모델은 수익을 거둘 수 있을지 궁금해진다. 그러나 이제 시작단계에서 성공과 실패를 논하기엔 이른 감이 적지 않다. 일단 만반의 준비를 기하고 실패 가능성을 줄이는 것이 IT서비스업계가 택한 길로 보인다. 손 차장은 업계에 불고 있는 ‘벤더 종속’에 대한 의견을 피력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준비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줄이고 안정성을 높여놓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단 글로벌 업체에 종속되지 않는 인프라를 구축해 원가를 절감해야 하죠. 유명 업체의 하드웨어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하둡으로 이중화, 삼중화해서 약점을 극복하고요. 벤더에 종속되면 서비스 가동 순간부터 코가 꿰서 어떻게 해볼 도리가 없습니다. 서비스가 커질수록 비용이 수입을 초과해버리죠.”

관련기사

서버업체나 글로벌 솔루션 업체에게 두려운 목소리일 수도 있다. 하지만 예산에 맞춰 솔루션을 모으고 하나의 상품으로 만들었던 IT서비스업계에게 이는 어쩔 수 없는 선택으로 보인다. 손 차장은 강조했다. 결국은 상생이란 점을 말이다.

“서비스 공급자가 비용을 줄여 마진을 확보해야 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그래야 저렴하면서도 더 우수한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지요. 클라우드는 특히 그렇습니다. 공급자와 수요자 모두 성공을 나눌 때만 클라우드는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