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로봇 시장창출 위해 3년간 1천억

일반입력 :2011/01/27 14:46    수정: 2011/01/28 11:06

정부가 오는 2013년까지 3년간 로봇시범사업을 위해 1천억원을 투입한다.

지식경제부는 27일 서울 양재동 교육문화회관에서 정부 7개 부처 합동으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로봇 융합 신 시장 선점을 위한 ‘범부처 시범사업 마스터플랜'을 발표했다.

■범부처 지원하에 시장창출 나선다

참여 부처는 지식경제부, 교육과학기술부, 환경부, 국방부, 보건복지부, 소방방재청, 농업진흥청 등이다.

이번 로봇시범사업지원 계획은 로봇산업 예산 지원이 연구개발(R&D) 위주로만 편성돼 실질적 시장 창출에 한계를 보임에 따라 조기 확산 정책을 이끌어내기 위해 이뤄진 것이다.

시범사업은 ▲대형화 ▲범부처 공조 ▲수출 지향 ▲'로봇+서비스' 융합 촉진 ▲대·중소 동반성장이라는 5가지 특징을 갖는다.

기존 사업은 1억원~2억원의 소규모로 지원돼 검증을 실사하고 자발적 민간투자를 유도하기에 부족했다는 평가에 따라 이번 사업부터는 신규 투자와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가 정착될 수 있도록 사업당 20억 내외로 규모를 확대했다. 이 부처 주도형 로봇시범사업에는 ▲교육 ▲상수관 ▲소방 ▲중소제조 ▲국방 ▲의료 ▲농사 등 총 7개 사업이 망라된다. 당장 올해 실시될 분야는 교육, 중소제조, 상수관, 소방 등 4개 분야다.

■올해 아이디어발굴형 사업 등 300억원 지원

지경부는 부처 주도형(Top-down) 사업 외에도 아이디어 발굴형(Bottom-up) 사업을 병행하는 투트랙 방식으로 이 시범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정부는 올해에만 각각 150억원씩 총 300억원을 지원한다.

아이디어 발굴형 사업은 사전 기획방식인 부처주도형과 달리 민간의 다양한 로봇 활용 사업을 공모해 지원하는 방식으로 국내 시장적용과 해외 테스트베드 구축의 2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관련기사

오는 31일부터 3월18일까지 한국로봇산업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아이디어 발굴형 로봇 시범사업 수요 공모를 실시하고 4월초 올해 지원 사업을 선정해 발표한다. 시범사업 중간 성과물은 올해 10월말께 개최될 '로보월드'에서 선보인다.

조석 지식경제부 성장동력실장은 “국민 세금으로 추진하는 시범사업으로 시장에서 사업 성패 여부가 중요한 만큼, 추진 과정에서 실적이 미흡하거나 관계부터 의지가 부진하면 과감하게 중도 탈락시킬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