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죄악시 하며 블록체인 인재 키운다고?

블록체인 인재 양성 놓고 정부·업계 시각차 뚜렷

컴퓨팅입력 :2018/10/12 10:35    수정: 2018/10/12 11:00

블록체인 산업에서 인력 수요가 크게 늘어나 오는 2021년까지 17만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하지만, 블록체인 산업에 필요한 전문 인재를 어떻게 양성하고, 시기적절하게 공급할 것인가를 놓고 정부와 업계가 시각차를 드러내고 있다.

정부는 업계 수요에 대비해 실무에 투입할 수 있는 인력을 단기에 빠르게 양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정부 예산을 들여 내년까지 1천명, 2022년까지 1만명을 교육시키는 게 목표다.

반면, 업계는 블록체인 기술과 뗄 수 없는 암호화폐에 대한 정부의 부정적인 인식을 걷어내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입을 모은다. 암호화폐 거래소를 벤처기업에서 제외해 도박장과 같이 취급하고, 암호화폐 발행(ICO) 행위를 전면 금지하고 있는데 어떤 뛰어난 인재가 이 산업으로 들어오겠느냐고 묻고 있다.

11일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글로벌 블록체인 정책 콘퍼런스(GBPC) 2018'에서 진행된 '블록체인을 통한 일자리 창출 및 인재양성 전략' 토론 세션에서 이런 입장차이가 선명하게 드러났다.

이날 토론은 이원부 동국대 교수가 좌장을 맡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양기성 네트워크진흥팀장, 주용완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본부장, 신용우 과학방송통신팀입법조사관, 이석우 두나무 대표, 김준범 지퍼 대표, 유성종 코인플러그 본부장이 패널로 참석했다.

11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글로벌 블록체인 정책 콘퍼런스(GBPC) 2018'이 열렸다.

정부, 단기.중장기 인력 양성 해법 제시..."내년 1천명 2022년 1만명 양성"

이날 패널로 참석한 과기정통부 양기성 팀장은 블록체인 인재 양성 관련 정책 방향에 대해 "산업과 시장에 필요한 인력을 어떻게 공급하고 이를 위해 어떻게 효율적으로 예산을 투입할 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6월 '블록체인 기술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계획안에는 2022년까지 블록체인 전문 인력 1만명을 키우겠다는 '인력 양성 방안'도 포함됐다.

양 팀장은 인력 양성 정책이 단기 실무 전문 인력 양성, 장기 핵심 인력 양성, 창업 멘토링 및 네트워킹 공간 연결 등 3가지 측면에서 추진된다고 설명했다.

양 팀장은 "단기간에 현재 부족한 전문 인력을 양성할 필요가 있다"며 "실무인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단기과정 형식으로 전문가들과 기업이 같이 모여서 실무 역량을 높일 수 있는 과정을 내년부터 신설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더불어 연구개발 인력 등 핵심 인재 양성을 위해 "블록체인 연구개발(R&D) 분야 석박사 프로그램과 전문 인력이 현장 경험을 쌓아 체득할 수 있는 프로그램 진행할 예정"이고 "마포에 블록체인 종합 공간을 조성해 예비 창업자들이 선배 창업자를 만나 네트워킹하고 아이디어를 발전해 나갈 수 있게 지원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양 팀장은 "내년 예산을 확보해 1천명 대상 교육을 추진하고 향후 예산을 추가해서 블록체인 전문 인력을 1만명 양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블록체인 업계 "부정적인 이미지 벗겨주면 인재 찾아온다"

블록체인 업계는 이같은 정부의 인력 양성 정책에 크게 기대하지 않는 분위기다. 이날 토론회에서도 정부 정책의 한계점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이석우 두나무 대표는 과기정통부가 발표한 블록체인 발전전략은 프라이빗 블록체인 분야 내용만 담겨 있기 때문에 한계가 크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SI프로젝트(시스템통합) 같은 성격이다. 규모의 경제나 확산의 개념에서 퍼블릭 블록체인을 따라갈 수 없다. 또 글로벌한 체계로 가려면 퍼블릭 블록체인을 해야한다. 퍼블릭 블록체인을 해야 고용을 포함해 부수적인 효과가 늘어난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현재 인력확보 상황에 대해 "작년, 재작년에 블록체인이 주목 받으면서 점차 실력 있는 개발자들이 이쪽을 공부하고 산업으로 오고 있지만 아직 부족하고 업비트도 채용에 애를 먹고 있다"고 설명했다.

블록체인 기업이 인재 채용에 어려움을 겪는 원인으로는 정부 규제로 덧씌워진 부정적 이미지를 꼽았다.

이 대표는 "특히 거래소는 벤처기업 육성 대상이 아니다. 그래서 졸지에 룸살롱 도박장과 같은 반열에 있다보니까, 굉장히 부정적인 인식이 있다. (인재들이) 암호화폐 산업에 갔다가 회사가 망하면 실직자가 될까 하는 불안감이 있다"고 설명했다.

코인플러그 유성종 본부장도 인재 확보의 어려움을 호소했다.

유 본부장은 "최근 블록체인 업계가 인력을 충원하기 상당히 어려운 환경에 처해 있다"며 "ICO가 규제로 막혀있고 거래소를 운영하는 회사는 벤처기업 업종에서 제외했다. 인재들이 이쪽 업계를 두려워하고 이 업계로 가면 나도 조사받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그는 "코인플러그는 특허 보유량으로 국내 1위, 전세계 2위 업체로 상당히 높은 기술력을 가진 회사임에도 CPDAX라는 거래소를 운영하기 때문에 벤처기업에서 해지될 상황"이라고 호소했다.

이어 "이 산업이 발전하려면 ICO전면 허용을 포함해 명확한 정부 정책이 나와야 하고 이를 통해 인재 육성을 할 수 있는 바람직한 생태계가 조성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