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시리 개발자 김윤이 SKT에 합류한 이유

"SKT 방대한 데이터에 지능정보 가치 부여하고 싶어"

방송/통신입력 :2018/04/04 13:55    수정: 2018/04/04 13:55

웬만한 사람이라면 애플의 음성인식 비서 시리에 대해서는 안다. 그러나 시리 개발 총괄이 한국인이라는 걸 아는 사람은 드물다.

김윤 SK텔레콤 AI리서치센터장이 그 주인공이다.

그가 애플을 떠나 지난 2월 SKT에 합류한 이유가 궁금한 상황에서 4일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김 센터장은 먼저 “인공지능(AI)은 마술이 아니라 단순한 숫자”라며 “이를 기반으로 “세상을 바꿀 수 있는 AI 기술을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또 “지금은 성과보다 어떤 씨앗을 심는지가 중요한 때며 대한민국 상황에 맞는 기술을 선택해 전략적으로 투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애플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 기반으로 AI 연구를 했다면, SK텔레콤에서는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의 AI 연구를 한다고 말했다.

김 센터장은 “SK텔레콤은 네트워크와 서비스를 이용해 사용자 데이터를 얻는데 여기에 고유한 지능정보 가치를 부여하고 싶다”며 “인간의 패턴을 바꾸고 도움이 되는 기술을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김 센터장은 특히 “SK텔레콤의 최대 자산은 방대한 사용자 데이터의 다양성”이라며 “기지국 데이터, 센서 데이터, 앱 데이터, 사용자 성향 데이터, 음성 데이터, 사용실적 데이터, 빌링 데이터 등이 있다”고 말했다.

또 “다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SK텔레콤이 추구하는 사업에 어떤 도움이 될지 생각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사내 축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AI리서치센터의 활동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그는 “현재 AI리서치센터의 인력은 약 30명 정도 되는데 연말까지 두 배 수준으로 늘릴 것”이라며 “머신러닝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소프트웨어 능력이 탁월한 사람이 조직에 합류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김 센터장은 SK텔레콤의 AI 연구개발 방향을 ‘인공지능(人工知能)’ 네 글자로 설명했다.

우선 인(人)은 인간 중심의 접근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글로벌 최고 수준의 인재 확보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공(工)은 기초기술이 사용자의 실생활에 다가가야 한다는 의미다.

관련기사

지(知)는 차세대 AI의 조건을 뜻한다.

능(能)은 SK텔레콤이 추구하는 AI의 모습이다. 5G에 최적화된 네트워크, 콘텐츠, 사용자 경험 등을 구현하겠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