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기업 설비투자 올해 대비 0.1% 증가 그친 179.7조원

산업은행, 설비투자 전망 조사결과 발표

홈&모바일입력 :2016/12/12 11:11    수정: 2016/12/12 11:14

송주영 기자

국내 기업의 내년 설비투자액은 올해와 비교해 0.1% 늘어나는데 그칠 전망이다. 대기업은 설비투자 액수를 2.7% 늘리는 반면 중소기업은 13.2% 축소가 예상됐다. 업종별로는 수출의존도가 높은 제조업 중심으로 설비투자가 늘어나고 내수 기업의 투자는 국내 소비심리 위축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산업은행(회장 이동걸)은 12일 국내 3천550개 주요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비투자계획을 조사한 결과 내년 기업 설비투자액은 올해 대비 0.1% 증가한 179조7천억원이 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올해 기업 설비투자실적은 지난해 대비 0.8% 감소한 179조4천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경제성장과 수출이 둔화되고 일부산업의 설비과잉이 지속되면서 설비투자가 감소세로 전환된 탓이다. 기업들의 올해 투자 집행 액수는 상반기 조사 당시 투자계획 규모 182조4천억원 대비 98.4% 수준이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은 올해 투자를 전년 대비 2.1% 확대했으나 중소기업은 13.6%로 대폭 축소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투자액이 1.7% 늘어난 반면 비제조업은 3% 줄었다.

(자료=KDB산업은행)

내년 투자 양상도 올해와 비슷해 대기업 투자액은 소폭 증가하고 중소기업 투자액은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투자가 증가할 전망이다.

산업은행 조사에 따르면 대기업 내년 설비투자계획 규모는 154조6천억원으로 올해 대비 2.7% 확대가 예상됐다. 그러나 중소기업 투자액은 25조1천억원에 그쳐 13.2% 축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중소기업 투자액은 올해에 이어 2년 연속 감소세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투자는 90조7천억원으로 올해 대비 4% 증가, 비제조업은 89조원으로 3.5% 감소할 전망이다.

제조업은 반도체·디스플레이, 석유화학 등 유망사업 위주로 투자를 확대하고 자동차, 철강 등은 수요부진, 설비과잉 등에 따라 축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비제조업은 부동산·건설은 택지공급 및 SOC 예산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전기·가스, 통신서비스는 기존설비 포화 등에 따라 투자를 축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 투자는 세계경제가 국내대비 양호할 전망이어서 수출의존도가 높은 제조업 설비투자가 상대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구조조정과 가계부채 부담, 정치적 불확실성 등으로 악화된 소비심리가 내수기업의 투자위축을 심화시킬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기존 산업의 투자 부진에도 불구하고 기술발전과 수요증가를 반영한 유망사업 투자는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제조업은 플렉시블 OLED, 고기능성 엔지니어링플라스틱 등 고부가제품 관련 투자 확대가 전망되며 비제조업은 1인가구 증가, 불황에 따른 합리적 소비증가로 IT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공유형 비즈니스가 급성장하면서 임대업 등의 투자 확대가 전망된다.

관련기사

산업은행 나성대 부행장은 “내년에는 수출부진이 다소 완화될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제조업 중심으로 투자가 소폭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나 미국 등 주요국의 보호무역기조 강화는 투자확대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내수기업과 중소기업의 설비투자 감소세가 심화될 것으로 조사된 바 산업은행은 4차산업혁명을 대비, 인공지능, IoT 등 미래 신성장산업 육성을 위해 기업특성별·성장단계별 맞춤형 정책금융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