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대표 임지훈)가 한 분야 또는 사회 전체 시스템을 바꿀만한 아이디어에 대한 사업화를 지원하는 독립법인을 설립하기로 했다고 24일 밝혔다.
사명은 '카카오메이커스'이며 카카오에서 소셜임팩트 사업을 주도해 온 홍은택 부사장의 대표를 맡는다. 내년 초 설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 카카오 메이커스는 지난 2월 선보인 공동주문 플랫폼 메이커스 위드 카카오를 중심으로, 소셜임팩트를 실현할 수 있는 다양한 분야의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카카오에 따르면 소셜임팩트는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통해 한 분야 또는 사회 전체의 시스템 변화를 추구함으로써 사회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재무적 성과를 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반 플랫폼인 메이커스 위드 카카오는 카카오가 가진 모바일 경쟁력을 이용해 소비자와 생산자를 효율적으로 연결하는 서비스다. 대량생산과 그에 따른 대량낭비 문제를 안고 있는 산업화 시대 패러다임을, 모바일 시대에 맞춰 수요를 즉시 확인하고 조직화하는 선주문 후생산 시스템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중국이나 동남아시아로 일감을 빼앗겨 쇠락하고 있는 서울 창신동, 신정동 일대 제조 공장에 재고 걱정없는 생산량을 공급해 고용 및 수익 안정에 기여하는 것도 목표다.
카카오 김범수 의장은 2014년부터 기업이 할 수 있는 사회적 역할로 소셜 임팩트를 강조해왔고, 이것은 메이커스 위드 카카오의 등장으로 이어졌다.
관련기사
- 카카오, 브랜드 디자인 총괄 부사장에 네이버 출신 조수용씨 선임2016.10.24
- 카카오, 샵검색 개편..."조만간 9개 기능 다시 추가"2016.10.24
- '알 수도 있는 친구' 추천해준 카카오톡, 논란 일자 원상복귀2016.10.24
- 카카오, 모바일 게임 ‘쿵푸팬더3’ 정식 출시2016.10.24
카카오에 댜르면 메이커스 위드 카카오는 출범 이래 90%에 가까운 주문성공률로 월평균 매출이 20%씩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주문에 성공한 파트너들도 230여 개 업체로 늘었다. 카카오는 "메이커스 위드 카카오는 신진 아티스트들에게 상품화 기회를 제공하고, 재고없는 생산 구조로 중소상공인에게 안정적인 판로가 되는 한편 비용 절감 효과도 창출해왔다. 국내 1호 소셜임팩트 기업인 카카오메이커스는 소셜임팩트 가치 실현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며 사회 변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메이커스 위드 카카오를 런칭 시점부터 이끌어 온 홍은택 부사장은 "서비스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어 한 단계 도약을 위해 빠른 의사결정과 투자가 필요한 상황이다. 독립 법인으로 소셜임팩트의 가치 실현에 집중한 사업을 적극적으로 이끌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