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제시 10대 미래서비스 현실화 시기는?

당장 가능한 것부터 2023년 이후 가능한 것까지

방송/통신입력 :2016/04/27 12:00

정부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경제가 저성장 기조인 ‘뉴노멀 시대’로 진입함에 따라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 미래유망 서비스를 앞세워 저성장 파고를 넘는다는 방침이다.

성장한계에 직면한 업계에서도 현재의 저성장 기조를 극복할 수 있는 미래형 서비스 발굴에 큰 관심을 기울이면서 정부가 제시한 미래유망 10대 신서비스가 언제 실현될지 또 이로 인한 파급효과가 얼마나 될 지 큰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위원장 이광형)가 27일 제시한 '미래유망 10대 신서비스는 ▲개인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현금 없는 금융 서비스 ▲무인 네트워크 운송 서비스 ▲사물인터넷 재난 대응 서비스 ▲건강수명 증진 서비스 ▲전력 충전 서비스 ▲그린에너지 플랫폼 서비스 ▲인공지능 만능 전문가 서비스 ▲웨어러블 에너지 공급 서비스 ▲소셜 러닝 서비스 등이다.

과학기술 · ict 기반 미래 유망 10대 신서비스의 실현 시기.(그림=미래준비위원회 보고서 발췌)

이 중 현금 없는 금융 서비스와 소셜 러닝 서비스는 현재의 기술 수준으로도 충분히 새로운 디지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무인차 기술을 기반으로 한 무인 네트워크 운송 서비스, 건강수명 증진 서비스, 인공지능 만능 전문가 서비스,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의 기술적 실현 시기는 2020년 이후로 점쳐지고 있다.

또한 산업적 실현 시기에서는 소셜 러닝 서비스가 2018년쯤으로 가장 빠르게 보급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무인 네트워크 운송 서비스, 건강수명 증진 서비스, 인공지능 만능 전문가 서비스는 2023년 이후에나 보급이 가능할 전망이다.

기술적 실현 시기와 산업적 실현 시기는 대략 2~5년의 격차를 둘 것으로 보인다. 이 격차가 가장 큰 신서비스는 무인 네트워크 운송 서비스, 건강수명 증진 서비스, 인공지능 만능 전문가 서비스로, 기술개발 수준이 어느 수준에 이른다 해도 약 5년 정도의 격차를 두고 산업화가 진행될 것으로 예측됐다.

과학기술 · ICT 기반 미래 유망 10대 신서비스별 파급효과

실제, 무인네트워크 운송 서비스는 무인 운송을 위한 교통 인프라가 구축돼야 하고, 사고 발생에 대한 책임 문제 등과 관련한 제도 마련이 걸림돌로 지적됐다. 따라서 기술적으로 실현되더라도 실제 인프라 구축, 제도정비 등 완벽한 서비스를 구현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아울러 건강수명 증진 서비스와 인공지능 만능 전문가 서비스도 기술적 실현이 이뤄지더라도 관련 법제도 정비가 지연될 경우, 실생활에 적용되기 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파악됐다.

관련기사

미래준비위는 또한 10대 신서비스중 파급효과가 큰 서비스를 ‘인공지능 만능 전문가 서비스-사물인터넷 재난대응 서비스-무인 네트워크 운송 서비스-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순으로 꼽았다. 기술발달과 인프라 정비, 규제장치 마련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겠지만, 실제 서비스가 정착될 경우, 산업 전반에는 물론 사회적으로도 큰 패러다임의 변화를 몰고올 것이란 평가다.

과학기술 · ICT 기반 미래 유망 10대 신서비스

미래준비위는 “미래 유망 10대 신서비스가 고용 유발과 부가가치 창출 등 경제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면서 “양적인 투입에 의한 성장보다는 기술혁신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는 질적 성장 중심으로 성장의 패러다임을 바꿀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