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물' 집전화, 구글 마법 덕에 부활할까

전화번호 클라우드 저장…패키지 전략 관심

인터넷입력 :2016/03/30 14:18    수정: 2016/03/30 14:23

김익현 미디어연구소장 기자 페이지 구독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모바일 시대에 퇴물 취급 받고 있는 집 전화가 구글의 후광에 힘입어 화려하게 부활할 수 있을까?

구글이 집 전화를 활용한 클라우드 방식의 인터넷전화 서비스 ‘파이버 폰’을 내놨다고 씨넷을 비롯한 주요 외신들이 29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이번에 구글이 공개한 파이버폰은 산업시대 통신을 책임졌던 유선 전화를 활용한 서비스다. 방식은 간단하다. 파이버폰 박스를 집에 있는 유선 전화기에 부착하면 된다.

구글이 공개한 구글 파이버 폰. 전화기에 파이버 박스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사진=구글)

하지만 작동 방식은 다르다. 유선전화기에 번호가 부여됐던 전통 방식과 달리 전화번호는 클라우드에 저장된다. 집 전화 뿐 아니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활용해서도 집 전화 번호로 통화를 할 수 있다는 얘기다.

■ 인터넷 서비스 위협하는 통신사 견제?

통신망은 구글의 고속 인터넷 서비스망인 구글 파이버를 이용한다. 월 요금 10달러로 미국 내 지역 및 장거리 전화를 무제한 사용할 수 있다. 국제 전화는 구글 보이스 서비스와 같은 기준이 적용된다. 음성 메일은 자동으로 텍스트로 변화해서 메일로 보내준다.

구글 측은 “휴대폰이 우리를 미래로 데려가고 있지만 많은 가정에서 여전히 집 전화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익숙하고 믿을만한 집 전화가 그 동안 홀대받았던 건 기술이 뒷받침해주지 못했기 때문이란 논리다.

‘클라우드 기반’이란 서비스 개념과 자체 고속 인터넷망을 결합해 유선 전화의 새로운 전형을 보여주겠다는 것이 구글 파이버 폰을 내놓는 구글의 야심이다.

(사진=구글)

최근 미국 통신회사들은 서비스의 중심축을 음성통화에서 모바일 데이터 쪽으로 이동하고 있다. 점차 통신회사에서 인터넷 콘텐츠 회사로 탈바꿈하는 모양새다.

T모바일 같은 통신사는 음성 서비스 없이 데이터만 제공하는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는 보도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구글은 왜 유선전화와 결합한 서비스를 내놓는 걸까? 당연한 얘기지만 구글은 유선전화 살리기엔 별 관심이 없다.

다만 최근 통신 시장 변화란 관점에서 바라보면 구글의 속내를 엿볼 수 있다. 구글은 1Gbps 속도를 자랑하는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와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위해 미국 주요 지역에 초고속 인터넷망을 구축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들어 통신사들도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AT&T, 컴캐스트 같은 미국 전통 사업자들 역시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구글과 직접 경쟁하고 있다.

■ 집토끼 지키면서 산토끼 사냥 이중전략?

이번에 선보인 파이버폰은 구글 입장에선 ‘집 토끼 지키기’ 전략의 일환으로 볼 수도 있다. 구글 파이버로 인터넷과 텔레비전을 이용하는 고객들이라면 월 10달러만 추가하면 유선전화를 무제한으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구글 파이버 고객이라면 다른 통신사에 가입한 유선전화를 끊고 구글과 연결하면 비용 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씨넷은 이번 서비스가 구글 이외 다른 통신사의 인터넷과 TV를 이용하는 고객들을 유인하는 효과를 기대해 볼 수도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런 고객 중 유선 전화를 계속 쓰고 싶은 사람들이 있다면 오히려 인터넷과 TV까지 구글로 옮길 여지도 있다는 것이다.

물론 반대 의견도 적지 않다. 워싱턴포스트, 씨넷 등 주요 외신들은 구글 파이버 폰이 현재 ‘구글 보이스’와 차별점이 별로 없다고 지적했다. 공짜로 쓸 수 있는 구글 보이스가 있는 데 굳이 월 10달러씩 부담하면서 파이버폰을 쓸 유인이 잘 보이지 않는다는 비판이다.

관련기사

워싱턴포스트는 유선전화 이용자 수가 갈수록 줄어든다는 점을 들어 구글 파이버폰 보급 확산에 의구심을 나타냈다. 2013년 현재 미국 성인 40%는 음성통신용으로 휴대폰만 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구글 파이버폰이 성공하기 위해선 여전히 유선전화를 사용하고 있는 고객들이 인터넷이나 TV 같은 다른 서비스와 패키지로 묶을 만한 유인을 느끼도록 해주는 것이 핵심 포인트가 될 수도 있을 것 같다.

김익현 미디어연구소장sini@zdne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