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산업, 기술규제 선진국 수준 완화

범 부처 '바이오특별위원회' 본격 가동

과학입력 :2016/03/22 14:00    수정: 2016/03/22 14:05

범 정부차원의 바이오 컨트롤타워인 '바이오특별위원회'가 본격적인 가동에 돌입했다. 향후 종합적인 바이오분야 전략 수립부터 기술규제 완화까지 주요 이슈를 바이오특위를 통해 범 부처가 조정,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

정부는 22일 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에서 '제1회 바이오특별위원회’를 개최했다.

바이오특위는 바이오 분야 범부처 컨트롤타워로 지난 3일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산하에 신설됐다. 첫 번째 개최되는 회의에서는 바이오분야 범부처 종합, 조정을 위해 향후 바이오특위의 운영방향을 결정하고, 바이오 현안 이슈 및 주요 아젠다가 논의됐다.

바이오특위는 생명과학, 보건의료, 농림수축산 식품, 산업공정-환경-해양, 바이오 융합 분야 등 바이오 전분야에 걸쳐 중장기 전략 수립, R&D 기획부터 사업화까지 범부처 종합조정, 민간부분의 기술혁신 촉진 및 규제개선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미래부 1차관을 위원장으로, 미래부, 농식품부, 산업부, 복지부, 해수부, 식약처 등 관계부처 실장급과 산학연 민간 전문가로 구성됐다.

또한, 신설된 특위가 실효성 있게 활동할 수 있도록 바이오 현장의 중요 현안을 중심으로 '바이오 현안 이슈 및 주요 아젠다'를 논의했다. 현장 의견수렴 결과 바이오 분야의 문제점으로 바이오 전 분야에 대한 종합적인 전략 부족, 부처 계획 간 상호연계 부족 및 R&D 사업 간 유사중복 발생, 바이오 R&D 사업화 및 창업에 대한 지원 부족, 복잡하고 까다로운 기술규제 등이 지적사항으로 꼽혔다.

관련기사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바이오특위에서는 성장가능성이 큰 유망분야 중심의 바이오 중기 전략을 수립하고, R&D 투자의 선택과 집중을 강화하기 위해 바이오 R&D 투자 포트폴리오를 마련하기로 했다. 또 R&D에서 사업화까지 부처별 명확한 역할 분담 및 단계별 상호 연계 방안을 마련하는 등 범부처 협업 시스템을 구축해나갈 예정이다. 또한, 연구 산업 현장의 기술규제를 선진국 수준으로 개선하는 등 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나가는데 초점을 맞추기로 했다. 이날 토의를 통해 확정된 아젠다는 바로 정책 수립에 착수해 바이오특위에 순차적으로 상정될 예정이다.

홍남기 미래부 제1차관은 “오늘 회의 개최 장소인 첨단의료복합단지는 미래, 복지부, 산업부 등이 공동으로 지원하는 바이오 분야 클러스터로서 부처 협업의 상징성을 가진다”며 “바이오특위를 통해서 관계부처가 협업해 우리나라가 바이오 경제시대에 선도자가 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