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인공지능에 1조원 쏟아 붓는다

2020년까지 투자…4차 산업혁명 동력 육성

방송/통신입력 :2016/03/17 14:00    수정: 2016/03/17 14:16

범정부 차원에서 4차 산업혁명의 핵심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는 지능정보기술에 향후 5년간 총 1조원 규모의 투자를 집행한다.

지능정보는 인공지능의 ‘지능’에 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정보’ 기술을 포함한 보다 넓은 개념의 인공지능기술을 말한다.

아울러, 정부는 공공투자를 중심으로 이뤄지는 투자를 발판으로 민간에서도 2조5천억원 규모의 투자를 이끌어낸다는 계획이다.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지능정보산업 발전전략’을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 민간 주도 기업형 ‘지능정보기술연구소’ 설립

우선 정부는 민관이 함께 국가 연구연량과 데이터를 하나로 결집시키기 위해 민간주도로 기업형 ‘지능정보기술연구소’를 설립하고, 정부는 연구비 지원 등 연구소가 연구에 몰입해 조기에 성과를 내도록 뒷받침한다.

지난 10월 구성된 ‘민관합동 자문위원회’에서는 지능정보산업 발전 전략을 수립하면서, 국내 지능정보기술 연구개발의 구심점이 필요하고 신속한 의사결정과 성과창출을 위해서는 민간기업 형태가 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린바 있다.

이에 따라 지난 1월부터 지능정보 관련 기업 등과 연구소 설립 계획을 논의해 구체적 사업계획을 마련했으며, 연구소에는 삼성전자, LG전자, SK텔레콤, KT, 네이버, 현대자동차 등 6개 기업이 참여키로 했다.

김용수 미래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연구소 재원은 민간기업이 출자해 기업형연구소를 설립하면, 정부는 플래그쉽 프로젝트 등 핵심 R&D 추진을 위한 연구비 지원을 하게 된다”며 “연구소 주도 하에 연구개발, 사업화, 데이터 결집과 협업이 추진될 것”이라고 말했다.

■ 기술 확보에 선택과 집중

특히, 정부는 선진국과 비교해 다소 연구개발에 뒤쳐져 있음을 감안,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 역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선택과 집중을 통해 플래그십 프로젝트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능형SW 분야에서는 언어, 시각, 공간, 감성지능, 스토리 이해와 요약 등의 연구를 플래그십 프로젝트로 지원해 지능정보기술 시장을 선점한다.

또, 다양한 응용서비스 개발에 적용 가능한 핵심 공통기술 연구를 통해 사회 혁신을 앞당길 수 있는 가시적 응용서비스 모델 발굴과 상용화도 병행한다는 계획이다.

기초기술 분야에서는 지능정보기술의 발전 기반 조성을 위해 슈퍼컴퓨터, 신경칩, 뇌과학?뇌구조, 산업수학 등의 연구도 지속적으로 지원한다.

아울러, 전문인력 확충을 위해 지능정보사회에서 새로운 수요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되는 데이터분석 전문가, 인공지능SW 개발자 등 전문 인력도 선제적으로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또, 이와 함께 SW중심대학, 대학ICT연구센터, SW스타랩 사업 등을 활용하고, 해외 전문가 리크루팅 사업을 통해 해외 우수인력 확보도 병행키로 했다.

김용수 미래창조과학부 정보통신정책실장

■ 6월까지 지능정보사회 추진 중장기 계획 수립

특히, 정부는 그동안 그간 정부?기업?연구소 등이 각기 축적한 데이터를 공유하고 이에 대한 이용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세계 최고 수준의 데이터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의료, 문화, 금융 등 각 분야별로 국내 민간과 정부가 보유한 데이터 관련 정보를 알려주는 ‘데이터 소재정보 서비스’ 사업을 추진하고, 언어?시각?감성 등 지능 분야별 연구용 DB, 전문가시스템 개발 지원을 위한 전문지식 DB를 구축? 공개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컴퓨팅 자원, 지능정보SW, 전문지식DB를 활용한 전문가시스템 등 산업 인프라를 구축하고, 이를 벤처기업에 클라우드로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또, KIF(Korra IT Fund) 등을 활용해 지능정보기술 스타트업?벤처 지원에도 나설 예정이다.

이를 위해, 지난해 3월 K-ICT 전략에 지능정보기술을 추가해 10대 전략산업으로 확대 개편하고, K-ICT 전략을 새롭게 정비한다는 계획이다.

김용수 실장은 “지능정보기술이 산업계 전반에 확산돼 신산업과 신시장을 만들어낼 계획”이라며 “고령화, 치안?테러, 교육 등 다양한 사회현안을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오는 6월까지 지능정보사회 추진 중장기 종합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한편, 최 장관의 보고에 이어 이날 청와대에는 김진형 SW정책연구소장, 김대식 KAIST 교수를 비롯한 인공지능 및 SW 관련 기업인, 전문가 등 민간 인사들이 초청돼 ▲인공지능을 바라보는 관점 ▲인공지능의 산업적 활용 ▲기술경쟁력, 인재양성 등에 대한 주제를 놓고 간담회가 진행됐다.

간담회에서 박 대통령은 “인공지능 기술에 대해 막연한 불안감을 갖기 보다는 사람 중심의 실용적 접근을 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하면서 “우리가 보유한 ICT 분야의 강점과 문화적 역량을 바탕으로 인공지능 중심의 4차 산업혁명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