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모바일 패턴 보니...정보는 '네이버'·소통은 '카톡'

하루 3시간 44분 사용...밤 12시36분에 가장 집중

인터넷입력 :2015/07/17 11:00

모바일 사용량이 가장 많은 연령대중에 하나인 20대들이 정보와 이슈를 얻기 위해 네이버를 가장 많이 찾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시간을 때우고 싶을 때는 페이스북을 자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타인과의 네트워킹에는 카카오톡을 제일 많이 사용했고 정보 신뢰도는 블로그가 가장 높았다. 아울러 모바일 광고에 대한 반응은 기대보다 긍정적이지 못했고, 동영상 소비가 높았지만 끝까지 보는 비율은 절반도 안 됐다.

대학내일20대연구소는 KT경제경영연구소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전국 20대 남녀 918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및 콘텐츠 이용 패턴을 심층 분석해 그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분석에는 설문조사와 24시간 밀착 관찰하는 '라이브톡'과 같은 새로운 조사기법을 활용, 모바일 세상에서 20대들이 어떻게 노는지 들여다봤다.

■20대 일 평균 모바일 이용시간 ‘3시간44분’

20대의 일 평균 모바일 이용시간은 3시간44분(223.6분)으로 조사됐다. 잠자는 시간(20대 일 평균 수면시간 7시간 2분)을 제외하면 하루의 5분의 1(21.9%)을 모바일 화면을 보며 보내는 셈이다.

이처럼 모바일과 친숙하다 보니 메신저나 SNS 이용뿐 아니라 검색, 일정 관리, 계좌 이체, 쇼핑과 같은 생활 전반에서 어느 수단보다도 모바일 이용을 더 편하게 여긴다.

상황별 모바일 사용을 더 편하게 생각하는 비율을 보니 ▲페이스북 이용 69.5% ▲네이버 포털 검색 66.1% ▲일정 관리 61.7% ▲계좌 이체 60.3%로 나타났다. 온라인 쇼핑 시 모바일 이용을 편하게 생각하는 비율은 40.2%로 다른 상황에 비해 비교적 낮았으나, 모바일 쇼핑의 경우 매년 2배 이상의 성장을 보이는 분야여서 앞으로 온라인 쇼핑에서 모바일 이용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모바일 집중 시각 ‘밤 12시36분’

20대가 모바일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가장 필요로 하는 순간은 언제일까. 하루 동안 모바일을 사용하는 상황에 따라 조사해 본 결과, 휴식시간(일 평균 50.2분)에 모바일을 가장 많이 이용했으며, 가장 절실하게 필요하다고 느끼는 순간은 대중교통/차량 이용 시(27.6%)라고 응답했다.

하지만 가장 집중해서 이용하는 시간은 잠자리에 들기 전(26.5%)이었다. 20대의 평균 취침 시각(밤 12시 36분)을 고려하면, 밤 12시에서 새벽 1시 사이에 모바일을 가장 집중해서 이용할 것으로 보이며, 이 시간대에 20대를 대상으로 한 콘텐츠 및 광고 노출 효과가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된다.

■원하는 정보는 ‘네이버’...소통은 '카카오톡'

다음은 20대가 선호하는 모바일 서비스를 알아봤다. 원하는 정보를 찾을 때는 네이버(78.5%)를 압도적으로 선호했으며, 최신 이슈가 궁금할 때도 네이버(59.2%)를 가장 먼저 찾았다.

콘텐츠 주제별 정보 습득 경로에서도 총 13개의 주제 중 11개에서 네이버가 1순위로 선정돼 주제와 장르를 불문하고 '검색은 네이버'라는 공식이 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타인과의 네트워킹은 단연 카카오톡(78.0%)이었다. 카카오톡을 얼마나 사용하고 있는지 살펴보니, 일평균 새 채팅방은 10.2개였다. 이중 일대일의 개인 채팅방은 6.5개, 단체 채팅방은 3.7개로 나타났다. 그러나 단체 채팅방의 대화에 참여하는 비율은 36.7%로 절반도 안 됐다.

■시간 때우고 싶을 때 ‘페이스북’

타인과의 네트워킹 시 '페이스북'을 선호한다는 20대는 10명 중 1명(11.7%)뿐이었다.

대신 시간을 때울 때 페이스북(40.0%)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네이버(20.5%), ▲카카오톡(12.3%) ▲피키캐스트(8.8%) ▲인스타그램(6.1%)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동영상 콘텐츠 적정길이 43.1초, 끝까지 보는 비율 46.0%

최근 모바일 콘텐츠는 동영상이 대세인 분위기다. 실제 조사에서도 20대가 일주일간 소비한 콘텐츠 4개 중 1개(25.4%)는 동영상으로 매우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콘텐츠를 끝까지 보는 비율을 확인한 결과 ▲동영상 46.0% ▲그림/일러스트 46.0% ▲텍스트 42.4% ▲사진/움짤 42.4% ▲인포그래픽 24.8%로 모든 유형에서 완독 비율이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뿐만 아니라 적정하다고 생각하는 콘텐츠의 길이를 조사하자 ▲동영상 43.1초 ▲텍스트 14.4문단(약 30줄) ▲그림/일러트스 17장 ▲사진/움짤 10장 ▲인포그래픽 9.3장으로 매우 짧게 나타났다. 짧고 가벼울수록 선호하는 20대의 스낵컬처 현상이 엿보이는 대목이다.

주제 역시 가벼운 것을 선호했다. 각 콘텐츠 형식별로 선호하는 주제를 묻자 유머/병맛 콘텐츠에 대한 선호가 가장 높았다. ▲사진/움짤 1위(24.0%) ▲텍스트 2위(11.0%) ▲동영상 2위(16.1%) ▲그림/일러스트 2위(18.6%)를 기록했다.

■모바일 광고 반응 ‘별로’

모바일 광고에 대한 20대의 인식은 광고 콘텐츠를 단순한 콘텐츠 이상으로 받아들이지 않는 것. 광고를 본 뒤 제품 및 서비스 이용의향이 생긴다는 응답은 31.8%에 그쳤으며, 브랜드의 이미지가 좋아진다는 응답률도 22.8%로 낮았다.

반면 모바일 광고를 재미있게 웃고 넘기(57.4%)거나 참신한 아이디어(47.4%)라고 생각하는 비율은 비교적 높았다. 온라인 콘텐츠가 주요 마케팅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는 요즘 눈 여겨 볼만한 결과다.

모바일 광고의 공유를 통한 바이럴 가능성도 높지 않았다. 20대가 콘텐츠 구독 후 댓글을 달거나(21.6%) 공유하는 것(27.2%)에 매우 소극적이었기 때문.

■가장 신뢰하는 정보 1위 ‘블로그’

20대가 모바일을 이용한 정보 탐색 시 가장 신뢰하는 경로는 블로그(43.0%)였다.

그러나 온라인 커뮤니티, 카카오톡을 통한 지인 추천, 인스타그램 해시태그 탐색 등 광고 가능성이 낮은 주변 추천 정보를 신뢰하는 경우 역시 총합 38.9%로 높게 나타났다.

20대가 정보의 신뢰도를 검증하는 또 다른 방법은 '이용자 반응' 확인이었다. 콘텐츠의 신뢰도 판단 방법을 묻는 질문에 콘텐츠 공감/좋아요 수(18.7%), 콘텐츠 베스트 댓글(14.9%) 등 이용자들의 반응을 통해 신뢰도를 검증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관련기사

이같은 경향은 일평균 모바일 이용시간이 300분을 초과하는 헤비유저일 수록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헤비유저들은 이용자 반응을 기반으로 콘텐츠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비율이 45.4%로 절반 가까이에 달했다.

대학내일20대연구소 이재흔 연구원은 “20대를 향한 온라인 콘텐츠형 광고가 넘치고 있지만 20대에게 광고는 흥미성 콘텐츠 그 이상이 아닌 듯하다”며 “정작 필요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찾거나 선택할 때는 해당 콘텐츠나 정보의 진위 여부를 치밀하게 검증하려는 경향이 강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