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AMOLED 패널, 소형 '쌩쌩' vs 대형 '느릿'

AMOLED 소형 패널과 대형 패널 희비 엇갈려

일반입력 :2015/04/17 15:43

이재운 기자

삼성이 자랑하는 AMOLED 패널 분야에서 소형과 대형의 운명이 극명히 엇갈리고 있다. 소형 패널은 하늘을 날고 있는데 대형 패널은 도통 움직일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A3 조기 가동…엣지와 함께 크는 소형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는 플렉서블 AMOLED를 생산하는 충청남도 아산(탕정) 소재 A3 라인을 지난달부터 시범 가동하기 시작해 이달부터 본격 양산 체제에 돌입했다. 당초 2분기 중반이었던 계획보다 앞서 본격 가동을 시작했다.

이는 삼성전자가 이달 출시한 갤럭시S6 엣지에 대한 시장 수요가 예상을 뛰어넘고 있는 것에 따른 조치로 풀이된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갤럭시S6와 갤럭시S6 엣지의 선주문량은 약 2천만대 수준에 이르는데, 여기서 ‘엣지’형 제품의 비중이 30~40% 정도로 전해졌다.

기존 A2의 일부 라인에서만 생산하는 물량으로는 600~800만대 수준의 물량을 맞추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판단에 따라 삼성디스플레이는 조기에 A3 가동을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기존 갤럭시노트 엣지 보다 더 많은 플렉서블 패널이 필요한 점도 작용했다. 이미 지난해 말까지 장비를 갖춘 뒤 가동 준비를 끝마친 상황이어서 별다른 문제가 없었다는 후문이다.

지난해 삼성디스플레이가 갤럭시S5의 실망스러운 성적표로 인해 동반 부진을 겪었던 점을 감안하면 갤럭시S6와 갤럭시S6 엣지에 대한 수요가 높다는 점은 긍정적인 신호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2분기 동안 갤럭시S6와 갤럭시S6 엣지 출하량이 2천만대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했다.

“AMOLED TV는 왜 안 만들죠?”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해 말 그룹 미래전략실로부터 경영진단을 받았다. “통상적인 진단”이라는 공식 해명에도 업계에서는 “실적 부진에 따른 전반적인 개선 작업을 진행하려는 것 같다”고 예의주시했고 이후 사업부 개편이 이뤄졌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TV용 대형 OLED 패널을 생산하지 않고 있다는 점을 미래전략실에서 지적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디스플레이는 대형 OLED 패널 생산을 꾸준히 연구해오고 있다. 실제 지난 2013년에는 LG디스플레이와 나란히 TV 시제품을 선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이내 본격 생산은 중단됐다. 바로 매우 낮은 수준의 수율이 발목을 잡았다.

삼성전자와 삼성디스플레이가 고집하는 방식은 RGB 방식이다. 화소마다 적색(R), 녹색(G), 청색(B)을 배치해가며 화면을 채우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화소 스스로 색상을 직접 표현해내기 때문에 흰 빛을 발광하고 컬러필터를 사용하는 경쟁사의 방식인 W-OLED 방식 보다 차기 기술개발에 더 유리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문제는 삼성의 방식에 동참하는 업체가 아직 없을뿐더러, 수율 개선 속도가 생각만큼 빨리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봉지 공정에서만 최소 2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시장조사업체 유비산업리서치는 최근 발간한 ‘화이트 OLED(W-OLED) 디스플레이 연간 보고서’를 통해 RGB 구조 기반 OLED 패널이 대면적 디스플레이를 생산할 경우 쳐짐 현상으로부터 발생하는 사강(Dead Space)이 생기고 있어 양산에 돌입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유비산업리서치는 “이같은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서 추가되는 공정과 그에 따른 투자비용의 증가는 패널 원가를 상승시킴에 따라 시장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야기하게 된다”고 분석했다. 또 대만 AUO나 중국 BOE 등 해외 업체들도 우선 수율이 안정적으로 확보된 W-OLED 방식의 대형 패널 생산이 가능한 8세대 시범(파일럿) 라인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도 언급했다.

관련기사

결국 대형 OLED 패널 생산을 위해서는 삼성디스플레이도 W-OLED 방식에 대한 투자를 진행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른다.

한 대형 가전유통업체 관계자는 “이미 소비자들이 OLED TV를 차세대 기술로 인식하기 시작했고, 풀HD 해상도라도 OLED 패널 제품을 선호하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고 전했다. 업계 또 다른 관계자는 “삼성도 내부적으로 W-OLED 방식과 RGB 구조 방식을 병행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