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 의원 ‘사이버 사찰’ 방지법 발의

감청·통신사실 확인·압수수색 피감시자 통지 앞당겨

일반입력 :2014/12/12 15:59    수정: 2014/12/12 16:49

오픈넷은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간사인 정청래 의원과 정부의 무분별한 사찰을 방지하고 국민의 기본권 침해를 막기 위한 관련 법률 개정안 4건을 발의했다고 12일 밝혔다.

발의한 개정안은 통신비밀보호법·전기통신사업법·개인정보보호법·형사소송법이다.

먼저 통신비밀보호법 개정안은 수사기관이 감청·통신사실확인·통신압수수색을 집행할 경우, 종료 후 90일 이내에 당사자에게 집행 내역을 통지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단 국가안보나 공공의 안녕, 사람의 생명·신체·재산에 위험을 초래하는 경우에는 법원의 허가를 받아 1년까지만 유예할 수 있도록 했다.

현행법은 기소 또는 불기소처분을 한 날부터 30일 이내에 통지하게 돼 있다. 하지만 처분을 하기 전까지는 몇 년이고 통지를 받지 못할 뿐만 아니라, 검사장의 승인을 얻어 무기한 유예하는 것이 가능해 통지가 이뤄지지 않는 경우가 훨씬 많았다는 것이 오픈넷의 설명이다.

오픈넷은 당초 통신압수수색에 대한 당사자 통지에 대해서는 형사소송법에 따라 사전통지 또는 즉시통지를 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그러나 통과가능성 등을 고려해 현행 통지 조항을 개선하는 선에서 법을 발의했다.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은 통신자료 제공의 근거규정인 제83조 제3항을 삭제, 통신자료의 제공이 법원의 압수수색영장을 통해서 이뤄질 수 있도록 절차를 강화했다.

현행법은 수사기관이 영장 없이도 이용자의 성명·주민번호·주소 등이 담긴 통신자료 제공을 요청할 수 있고, 전기통신사업자는 그 요청에 따를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에 실무상 대부분 제공돼 왔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는 영장주의에 위배될 소지가 많아 그동안 많은 지적을 받아왔다. 특히 올 2월 국가인권위원회도 폐지권고를 한 바 있다. 아울러 지난 6월 캐나다 대법원에서도 위헌판정을 받았다.

나아가 오픈넷은 전기통신사업자들에게 감시협조 현황에 대해 보고하고 국민에게 공개하도록 했다. 그동안 통신제한조치·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전기통신 압수수색의 집행에 대한 통계가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아 수사기관의 사이버 감시 실태에 대한 국민의 알 권리가 제대로 보장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은 공공기관을 비롯한 모든 개인정보처리자가 개인정보 이용 내역을 정보주체에게 주기적으로 통지하도록 했다. 또한 시험·감사와 같이 비밀유지가 필요한 공공기관의 업무에 대해서도 정보주체가 제3자 정보제공 현황을 열람할 수 있도록 했다.

그동안 수사기관은 공문 한 장만으로 공공기관에 개인정보를 요구하고 제공 받아 왔는데, 정작 당사자는 이런 사실을 통보받지 못해 자신의 정보가 어떻게 이용됐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았다.

현재 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에관한법은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에게 개인정보이용내역을 1년에 한 번씩 통지해주도록 돼 있다. 법 개정으로 똑같은 개인정보처리자인 공공기관에도 똑같은 의무가 적용되도록 한 것. 형사소송법 제199조에 따라 공공기관이 임의로 개인정보를 수사기관에 제공하는 경우 이같이 통지 해야 한다.

또 현행법은 시험이나 감사를 수행하는 공공기관이 응시자나 피감사자에게 자기정보열람권을 보장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고 있으나, 법 개정을 통해 제3자에게 자기정보를 제공한 현황만큼은 공무에 방해가 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열람할 수 있도록 했다.

관련기사

마지막으로 형사소송법 개정안은 수사기관이 공공기관에 개인정보 제공을 요구할 경우 과도한 개인정보 제공을 요구하지 못하도록 기존의 ‘필요한 사항’을 ‘최소한도의 범위 안에서 필요한 사항’으로 한정했다.

오픈넷은 “이번 개정안 발의 작업 참여뿐만 아니라 개정안 통과를 위한 다양한 캠페인 및 헌법소원 등을 준비 중”이라며 “표현의 자유 보장과 국민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정부의 무분별한 사이버 사찰에 제동을 걸고 국가감시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활동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