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P "美정부 외국만 털어"...IT공룡들 속은?

정치입력 :2013/06/08 14:03    수정: 2013/06/08 21:04

이재구 기자

“미국정부는 9개 주요 IT기업과 함께 외국의 목표를 상대로 직접적인 염탐을 허용했다...”

워싱턴포스트가 7일 “미 정부가 9개 IT업체와의 유착해 시민들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해 왔다”는 전날 보도에서 한발 물러섰다. 보도가 나가고 난 후 기업들이 잇따라 사실을 부인하고 나서자 24시간 만에 기업들이 정부에 자발적으로 협조하지 않았으며, 미국인 상대가 아닌 외국인들 대상의 염탐이었다며 당초의 보도를 부인했다.

최초의 보도는 “미국정부가 IT업체의 서버에 ‘직접 접속’해 이들의 오디오,비디오,사진,이메일,도큐먼트와 로그에 직접 접속해 분석가들이 시간경과에 따른 개개인의 움직임을 샅샅이 들여다 볼 수 있게 했다”는 내용이었다. 또 IT기업들이 “개개인의 정보를 샅샅이 들여다 보고있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협조했다”는 것이었다. 워싱턴포스트의 첫 보도는 경험있는 정보담당자가 권력과 프라이버시 침해에 엄청나게 놀랐으며 이에따라 이런 사실을 신문에 알리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 내부 고발자는 “그들은 말 그대로 당신이 타이핑하는 순간 당신의 생각을 관찰할 수 있다”고 워싱턴포스트기자에게 말했다.

하지만 보도가 나가자 구글,페이스북,야후 등이 즉각 부인하고 나섰다. 이들은 “어떤 서버에도 ‘직접적 접근’을 허용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애플은 “정부와 협력하는 그런 프로그램이 있는 것조차 몰랐다”고 부인했다.

이는 워싱턴포스트가 주장한 대로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정부에 직접적으로 모든 것을 공개적으로 모니터하지 않고 그들의 서버를 직접 접속할 수 있었다는 데 대한 의혹을 부추겼다.

IT기업들의 부인이 이어지자 워싱턴포스트는 첫 보도 후 24시간 만에 최소한 2가지 사실에 대해서는 말을 바꿨다.

워싱턴포스트는 ▲IT기업들이 “알면서도” 정부의 스파이 프로그램에 참여했다는 내용 ▲ “기업들이 정부에 그들의 서버에 대한 ‘직접적인 접속’을 허용했다”는 기사대목을 부분 정정했다.

당초 보도는 “국가안보국(NSA)과 미연방수사국(FBI)는 미국의 9개 주요 IT회사 서버에 직접 접속해 오디오,비디오,사진,이메일,도큐먼트,및 접속로그를 빼내 분석가들로 하여금 시간경과에 따른 개개인의 움직임과 만나는 사람을 분석하도록 하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업데이트된 내용은 “워싱턴포스트가 얻어낸 최고기밀 도큐먼트에 따르면 NSA와 FBI는 9개 주요 IT기업의 서버에 직접 접속해 해외 목표를 상대로 한 오디오,비디오채팅,사진,이메일,도큐먼트 및 로그를 뽑아냈다”는 것이다.

보도는 이런 방식의 일부 보도내용 정정을 통해 이전에 확보된 최고기밀이 부정확한 것이었다는 내용임을 인정했다. 또 구글,페이스북, 애플 등이 자발적으로 정부에 항상 직접적으로 아무런 조건없이 서버에 접속토록 했다는 보도에 대해서도 한발 물러섰다.

워싱턴포스트의 보도는 이들 회사들이 통상적으로 그들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짓밟고 있다는 의혹을 갖고 있는 전세계 수억 고객들의 분노를 일으키고 있다.

미국정부의 “스파이 프로그램은 미국인이 아닌 주로 외국인을 염탐하는 프로그램이었다”는 것도 구글과 페이스북 등의 기업들에게 과히 유쾌한 내용은 아니다. 미국IT업체들의 서버는 대부분 주로 외국에 설치돼 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사실이라면 이 또한 이들 9개 IT업체들의 전세계 고객들의 정보를 무차별적으로 털어왔다는 말이 된다. 따라서 미국 주요 IT업체들이 '자발적으로' 미국 NSA,FBI 등에 고객정보를 제공했다는 것은 상상하기 힘들다.

워싱턴포스트의 폭로보도는 그러나 거대한 정부의 인터넷스파이 프로그램 프리즘(PRISM) 존재를 드러내 주었다. 워싱턴포스트는 NSA,FBI가 “직접적으로 페이스북 구글 등의 중앙서버에 접속”했다는 점과 “말 그대로 타이핑하는 순간 생각을 관찰한다”는 점만은 틀렸다면서 정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