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정부 3.0’ 인터넷, 위기관리 수단으로

일반입력 :2013/05/08 16:41    수정: 2013/05/08 19:27

전하나 기자

#대만 킨멘소방서는 올 3월부터 ‘라인’에서 ‘킨멘119’라는 아이디로 청각 장애인과 언어 장애인의 신고를 받고 있다. 신고 즉시 위치 파악이 돼 신속한 화재 진압이 가능하다.

#한국 경찰청은 6일부터 ‘카카오톡 플러스친구’를 통해 연쇄살인·성폭행·방화·테러·납치 등 중요한 치안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 중이다. 항상 휴대하는 스마트폰과 메시지가 올 때마다 울리는 알림 기능을 활용해 시민들의 안전을 지키려는 목적이다.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는 모바일 메신저가 위기관리 수단으로 쓰이고 있는 국내외 사례다. 재해 등 전통적 재난 뿐만 아니라 범죄와 사건·사고 등이 만연한 사회에서 최근 정부 기관, 지자체 등이 인터넷을 통해 위험에 적극 대응하는 사례가 잇달아 나오고 있다.

지난해 12월 12일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한 소식이 NHK 속보 보다도 라인의 수상관저 공식 계정을 통해 먼저 알려졌다. 일본 정부는 해당 계정을 통해 지진 등 다양한 일본 내 재난 정보 소식을 빠르게 전달해왔다.

일본은 라인 뿐 아니라 트위터와도 협업하고 있다. 지난 2011년 3월 발생한 동일본대지진 이후 구축한 트위터 라이프라인이 대표적인 예다. 라이프라인은 트위터 가입자가 거주 지역의 우편번호를 입력해놓으면 그 지역에 재난이 발생했을 때 트위터로 재난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아보는 방식이다.

미국 정부도 지난해 10월 미국 동북부를 강타한 허리케인 샌디 당시 트위터를 적극 활용했다. 주민들은 정부 트위터 계정을 통해 재난 정보를 수신하고 친지, 친구들의 소식을 확인했다.

트위터 관계자는 “트위터의 실시간과 배포성은 재난 상황 시 특히 유용하다”며 “트위터는 정부 부처들로 하여금 트위터 계정을 생성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며 한국 정부 부처들도 더욱 적극 트위터를 사용하길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에선 이 같이 공공이 나서 민간 시스템을 활용하려는 작업이 활발하다. 미국의 연방통신위원회(FCC)와 연방비상관리기관(FEMA)은 2011년 5월 긴급 상황 발생 시 휴대폰에 경고메시지를 전송하는 대국민 경보시스템인 ‘플랜’을 시작했다.

호주는 2009년 2월 발생한 빅토리아 대화재 이후 실시간 정보와 민관 협력체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머전시 2.0 오스트레일리아’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영국도 공공기관·민간기업·개인 등이 보유하고 있는 전력, 환경 등의 센서정보를 개방, 공유하는 ‘패치베이’ 플랫폼으로 재난안전관리 시스템간 상호연계를 지원하고 있다.

국내서도 이 같은 움직임이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 서울시는 현재 트위터라인을 구축하는 안을 검토 중이다. 최근 박원순 서울시장이 트위터의 최고운영책임자인 알리 로우가니를 만나 이 같은 내용을 제안했다. 서울시는 지난해부터 다음커뮤니케이션과 재난·재해 정보를 공유하는 ‘커뮤니티 맵’ 서비스를 운용 중이기도 하다.

관련기사

방송통신위원회는 6일 재난지역에서 스마트폰 등으로 촬영한 재난현장 화면을 다수의 방송사와 국민들이 공유할 수 있는 ‘국민 참여형 재난방송 앱’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발표했다. 실제 서비스 구현까지 시일이 걸리겠지만 유의미한 진보라는 평가다.

양석원 은행권청년창업재단 기업가정신센터 운영팀장은 “최근 일방향인 정부 1.0과 양방향인 2.0을 판올림해 융합형 행정인 창조정부 3.0 구현을 얘기하는데 이를 위해선 정보의 공개를 넘어서는 활용과 연결이 필요하다”며 “여기에 시민들의 참여와 협력은 필수”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