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보는 국내외 방송사의 ‘극과 극’ 시선 왜?

일반입력 :2013/01/31 11:30    수정: 2013/01/31 11:32

“게임 중독의 증세가 심하다면 단순히 나쁜 습관이라고만 할 게 아니라 마약중독과 같은 뇌질환으로 받아들여서 치료를 받는 게 필요하다.”(SBS)

“게임은 남녀노소 불문하고 많은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고 그들로부터 사랑을 받는다. 나이 많은 사람들의 정신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BBC)

최근 몇 년 사이 국내에서 게임에 대한 부정적인 보도가 이어지는 가운데, 게임을 바라보는 각 방송사의 상반된 시각이 게임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해외 언론사들은 게임의 순기능을 주로 소개하는 반면, 국내 언론의 경우는 부정적인 면만 부각시키는 차이점 때문이다.

지난 24일 국내 방송사인 SBS는 가족 총기 살해 소년이 폭력게임에 중독된 사실이 확인됐다는 이유로 총기 살해의 원인을 게임으로 지목했다. 이 방송사는 게임과 폭력의 연관성에 대한 논란이 뜨거워지고 있다면서 게임 중독자의 뇌 사진을 보여줬다. 마약 중독자처럼 전두엽 부위의 기능이 떨어진다는 논리를 펼치며 게임의 부정적인 면을 부각시킨 것.

또 이 방송사는 지난 27일 ‘생생리포트’라는 코너를 통해 카톡 게임이 눈 건강에 좋지 않다는 방송을 내보냈다. 안구 추적 장치를 통해 실험한 결과 안구 움직임이 굉장히 빠르게 나타났고, 시력측정 결과 카톡 게임 10분만 했더니 1.0 시력이 0.7까지 떨어졌다고 밝혔다.

지난 2011년 게임에 대한 작위적인 보도로 논란이 됐던 MBC의 ‘잔인한 게임 난폭해진 아이들…실제 폭력 부른다’라는 기사도 결과에 과정을 끼워 맞춘 대표적인 경우다. 당시 MBC는 PC방 전원을 내리고 게임 이용자들의 격분하는 모습을 보여준 뒤, 게임을 하면 폭력적으로 변한다는 논리를 펼쳤다. 이에 MBC는 비객관적이고 작위적인 실험결과를 단정적으로 보도했다는 이유로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경고 조치를 받기도 했다.

반면 지난 22일 영국의 BBC뉴스는 폭력 게임으로 유명한 'GTA4' 등을 즐기는 86세 할머니의 ‘게임사랑’ 사연을 소개했다. 40년 간 게임을 즐겨온 할머니가 게임을 통해 건강한 생활을 영위하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특히 이 외신은 “게임이 정신 건강에 도움을 준다”면서 “게임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많은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준다”고 강조했다. 일전에 BBC는 100세 이용자가 닌텐도 DS를 즐겨하는 모습도 보도했다.

아울러 게임스파크 등 해외 게임전문 매체들은 지난 30일 ‘헤일로4’ 등 1인칭슈팅(FPS) 게임을 즐기는 84세 할아버지의 영상이 유튜브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는 소식을 전했다. 이 외신은 “할아버지가 게임은 물론, 장성한 손자와 함께 놀 수 있는 것 자체에 즐거움을 느낀다”면서 게임이 단순한 재미를 넘어 가족 간의 정을 나눌 수 있는 도구가 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처럼 해외 매체들이 게임의 순기능을 주로 소개하는 반면, 국내 언론사들이 유독 게임의 부정적인 면만 부각시키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에 대해 업계는 한류 주축으로 떠오른 게임 산업에 정치적인 목적이 개입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일부 정부 부처들의 이권 다툼에 게임 산업이 희생양처럼 됐다는 주장이다.

또 각종 사건·사고의 원인을 게임으로 규정하려는 정부의 행정 편의주의적 사고와, 복합적인 원인을 하나로 규정하는 일부 언론사의 자극적인 보도 또한 문제라는 지적도 많다.

특히 게임 중독자의 뇌와 마약 중독자의 뇌가 유사하다는 주장은 이미 실험 자체의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있었음에도 여전히 사실인 양 알려지고 있어 당혹스럽다는 입장이다.

관련기사

한덕현 중앙대학교병원 교수는 지난해 초 게임과몰입치료센터 성과식에서 “아직 게임이 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입증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또 당시 이 병원의 이영식 과장은 게임중독자와 마약중독자 뇌의 비교 실험의 허점을 지적하며 “게임을 많이 해서 우울증에 빠지는 경우보다, 우울증에 빠져서 게임에 빠지는 경우가 많다”면서 게임에 대한 다각도 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익명을 요구한 게임업계 관계자는 “외신에서는 게임을 통한 순기능과 장점들이 종종 소개되는 반면 국내 지상파 방송사에서 게임의 효과, 순기능을 소개하는 사례는 단 한 번도 본 적이 없다”면서 “정부나 일부 의원들이 게임 산업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규제 법안을 발의하거나 상정하면 마치 이를 지원 사격하듯 일부 방송사들이 게임에 대한 편파적인 보도를 일삼고 있다”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