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간 사이버전 위기 대두…국방부 대비는?

일반입력 :2012/06/07 15:49

김희연 기자

전 세계 사이버전 확대 움직임이 활발해지면서 국내 국방정보보호에 대한 관심도 높다. 실제 사이버전이 발생했을 때 국방부는 얼마나 사이버전에 대한 준비를 갖췄느냐는 의문이 제기된다.

최근 이란의 핵시설을 겨냥한 스턱스넷과 신종 악성코드 플레임의 등장으로 사이버전은 더욱 달궈진 화두가 됐다. 이에 주요 국방 사이버보안관련 관계자들은 국내 사이버전 대응현실에 대해 개념적 인식은 변화하고 있지만 네트워크 중심의 국방정보화와 전군 대응체계 확립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7일 서울 대방동 공군회관에서 열린 ‘제 10회 국방정보보호 컨퍼런스’에서는 사이버국방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국내 사이버전 대응능력 향상을 위해 어떤 준비가 필요한가에 대한 전문가 토론이 이어졌다.

한국국방연구원 정보화연구실 김영호 실장은 국내 사이버전에 대비한 현 상황에 대해 “사이버전 대비의 중요성, 필요성과 같은 개념적 인식은 확산되고 있지만 군사적인 요소로서 사이버전 개념 정립은 여전히 미흡하다”고 말했다.

사이버전 체계를 확립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은 사이버공격 자체의 특징이기도 하다는 설명이다. 국방관련 사이버공격 자체가 과도한 비밀주의, 체계적인 개념정립 여부의 불명확성 등으로 인해 현실적인 어려움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사이버전 대응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군 차원에서 관련 대응체계를 구성해나가고 있다. 지난 2010년 1월경 국방사이버사령부 창설을 시작으로 지난해 3월에는 국방부 내 사이버방호정책팀과 같은 전담조직을 구성했다.

국군지휘통신사령부 박헌규 대령은 “이제 미래전은 네트워크 중심의 작전환경이 조성되기 때문에 국방정보화와 더불어 정보우위의 네트워크 중심 작전환경 구현이 이뤄져야 한다”면서 “네트워크 중심 국방지식정보화를 통해 전군 차원으로 상호운용성이 있는 사이버보안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박 대령은 이러한 국방지식정보화를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군의 역량을 결집할 수 있는 인력배치가 필수라고 강조했다. 사이버 전시상황에서 군의 일사불란한 대응이 가능하려면 지휘체계의 정비를 통해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는 역량을 지닌 전문인력 양성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현재 이러한 대응체계 마련을 위해 군 차원에서 국방정보화 추진 전략을 수행하고 있다. 추진전략으로는 ▲5대 정보시스템 선진화 ▲4대 전략과제 추진 ▲3대 관리체계 고도화를 중심으로 진행하고 있다.

원유재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인터넷침해대응센터 본부장은 “사이버전 등과 같은 침해사고에 효율적으로 대비하기 위해서는 적재적소에 정보공유가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국가차원의 침해사고 정보통합 관리시스템을 마련하고 침해사고 재발발지 및 선제적 대응을 위한 정보가 공유될 수 있도록 체계를 확립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