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가상데스크톱 핵심기술 대공개

일반입력 :2011/06/20 09:21    수정: 2011/06/20 17:40

오픈소스를 활용한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줄줄이 내놓은 KT가 새로운 아키텍처를 적용한 가상 데스크톱 인프라(VDI)를 적용한다.

KT는 새로운 VDI 아키텍처를 학수고대해왔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VDI의 약점들을 극복하고, 비용을 낮추기 위한 절대적인 조건으로 여겼기 때문. KT내부에 적용했던 VDI를 대외사업으로 확대하기 위한 마지막 퍼즐이었다.

최근 기자와 만난 김충겸 KT클라우드추진본부 SI본부 상무는 “다음달 VDI에 새로운 아키텍처를 적용해 7천명까지 확대할 계획”이라며 “VDI의 기술적 문제점을 해소한 아키텍처로 대외사업 공략에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다”라고 말했다.

VDI는 수십부터 수천까지의 사용자를 서버와 스토리지에 수용하기 때문에 전부분에서 병목현상이란 난제를 떠안는다. 서버의 I/O, 스토리지 네트워크, 스위치 등에서 정체현상을 빚게 되면 시스템 전체를 활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KT는 이같은 난제 해결을 위해 넥센타, 시스코시스템즈, 시트릭스시스템즈와 아키텍처 설계를 3개월간 진행했다.

김 상무가 밝힌 KT VDI 아키텍처의 차별점은 크게 4가지. 고집적 인프라, SSD캐싱, 스토리지 파티션, WAN 가속 솔루션 등으로 요약된다.

■고집적 인프라로 적은 서버로 더 많은 VDI를

KT는 외장형 스토리지를 서버컨트롤러와 디스크로 나눠 별도 영역을 구성했다. 보통 한 랙에 서버와 디스크가 묶여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서버랙은 대량의 디스크영역을 개별적으로 연결해 제어하도록 설계됐다.

김충겸 상무는 “이렇게 함으로써 랙당 1천200명의 가상PC를 수용할 수 있게 됐다”라며 “다른 VDI와 집적도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면서, 적은 서버를 갖고 더 많은 사용자를 지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집적도를 높이면 전기료, 공간, 운영인력 등을 줄일 수 있다. 줄어든 서버 대수만큼 장애발생 빈도도 줄어든다. VDI 입장에서 장애란 업무중단이란 어마어마한 피해를 초래하는데, 이중화와 SW기술로 극복하면서, 물리적인 서버 자체의 장애 확률을 줄인 것이다.

■운영체제와 디스크를 나누고 SSD 캐시로 속도 '업'

스토리지 디스크 영역은 운영체제와 데이터 영역을 구분했다. PC의 하드디스크를 파티션한 것과 동일한 이치. C드라이브는 운영체제와 애플리케이션 설치에 사용하고, D드라이브는 일반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김 상무는 “스토리지 파티션은 프로그램 설치나 삭제에서 자유로워진다는 이점을 갖는다”라며 “데이터백업, 포맷, OS 교체 등의 문제로 데이터 영역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했다”고 말했다.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를 활용해 캐시영역을 둔 것도 특징이다. 서버, 스토리지 외에 100기가바이트(GB)용량의 SSD 4장을 캐시용도로 써서 디스크 IOPS를 개선한 것이다. 번치오브디스크(BOD)로 스토리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보틀넥을 없애기 위한 방안이다.

김 상무는 “데이터가 SATA디스크에 바로 저장되지 않고 SSD캐시에서 갖고 있기 때문에 지연이 없어진다”라며 “가벼울 뿐 아니라, 속도가 빠르면서, 전력소모가 적어 캐시에 SSD를 활용했다”라고 밝혔다 .

스토리지 디스크 영역을 구분한 상황에서 SSD는 각 디스크 영역 상위에 올라간다. 서버의 CPU와 SSD를 거치면서 CPU 사용량을 줄이고, 하드디스크의 RPM속도를 네트워크 속도와 맞춘 형태다. 김 상무는 “이를 통해 CPU 비용을 낮출 수 있었다”라고 덧붙였다.

■WAN 최적화로 스마트워크 지원

마지막은 WAN 최적화 솔루션이다. VDI는 여러 사용자가 한 장소에 몰려 있으면 별다른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하지만, 사무실이 여러 곳에 분산된 경우 네트워크의 중요성이 커진다. 저마다 다른 품질의 네트워크에서 접속하고 전용회선이 아닌 공공망을 사용하기 때문에 심각한 품질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그는 “VDI는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을 기본전제로 하므로 트래픽 처리가 중요하다”라며 “전용회선은 너무 비싸고 모든 장소에 설치하는 것도 불가능해, WAN최적화 솔루션을 써서 지연을 없앴다”라고 말했다. 스마트워크, 모바일 오피스 등을 대비한 선택이란 설명이다.

전반적인 스토리지 관리 기술은 넥센타의 설계를 사용한다. 넥센타는 스토리지를 한꺼번에 몰아넣고 서버와 커뮤니케이션하면서 관리하는 기술을 갖고 있는데, 이 SW가 오픈소스로 꾸려졌다.

■내부적용 대폭확대로 대규모 운영노하우 축적

이 아키텍처는 다음달부터 KT 그룹에 적용된다. 동시에 현재 1천200명에게 적용한 VDI를 최대 7천명수준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올 연말까지 수천개의 사용자에 대한 제어, 관리 경험을 쌓겠다는 계산이다.

그는 “수천개 어카운트를 다뤄보면서 노하우를 쌓게 될 것인데, 이런 저런 데이터를 확보할 수밖에 없다”라며 “동시접속, 자주 쓰는 애플리케이션, 트래픽 처리, 딜레이 감소 등에서 수개월 내 엄청난 운영 노하우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관련기사

KT는 세계적으로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업계에서 뜨거운 감자다. IT시스템 구축경험이 전무했던 통신사업자 KT가 강력하게 서비스 준비를 주도한다는 점 때문이다. 무엇보다 오픈소스 진영의 통 큰 사업자다. 미국 실리콘밸리의 벤처기업중 KT에게 채택된 회사는 현지 벤처캐피털의 투자를 따기 쉽다는 소리도 들린다.

퍼블릭 클라우드는 롱테일과 박리다매의 성격을 갖는 만큼 규모의 경제를 확보하지 않고서 성공을 확신할 수 없다. KT는 이 같은 우려를 VDI로 씻으려 하고 있다. 강력한 기업 수뇌부의 의지와 함께 각종 오픈소스 기술을 적용한 KT 클라우드의 행보가 주목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