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산업 위기탈출?…“협회 중심으로 뭉쳐야”

일반입력 :2011/01/16 14:20    수정: 2011/01/16 18:35

전하나 기자

한국게임산업협회가 업계의 구심점 역할을 하기 위해서 수장 교체를 이루고 조직을 재단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게임산업협회장 인선이 난맥상에 빠졌다. 협회장 자리에 선뜻 나서는 인물도 없을 뿐 아니라 업계 대표 인사들의 회장직 고사도 반복되고 있다.

그러나 협회가 게임산업의 우산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만큼, 현재의 위기를 환골탈대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게임산업의 역사가 짧다보니 협회의 전통도 부족한 것이 사실”이라며 “그런만큼 발전할 수 있는 여지가 무궁무진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그동안 협회가 겪은 불운은 게임업계의 멤버십 부족이 낳은 결과이기도 하다”며 “협회에 성과만을 주문할 것이 아니라 일단 업계가 뭉치고 협회에 창구 역할을 맡겨야 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일 터지고 나면 막기 ‘급급’…“자발적으로 이슈 생산해내야”

지난해 게임업계는 정부 규제안으로 지리한 몸살을 앓았다. 여성가족부가 청소년들의 과도한 게임 과몰입을 막겠다는 명분으로 게임물 직접 규제에 나섰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콘텐츠 주무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는 별다른 대응을 하지 못했을 뿐더러 제 몫을 뺏기는 협상력 부재를 드러냈다.

게임산업 역사와 생태계에 대한 이해도가 가장 높은 협회 역시 고전했다. 업계를 대변하는 목소리를 적잖게 내왔으나 사실상 부처 간 이해관계에 끌려다니기 바빴다는 평가다. 협회가 정책적 이슈를 자발적으로 제안하고 생산하지 못했다는 지적 또한 많다.

업계 일각에서는 게임산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크다는 것을 숨기거나 외면해서는 안된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나온다. 게임 과몰입에 대한 사후치료에 급급할 것이 아니라 예방 활동을 보다 확장하고 문제의 심각성을 업계가 인지하고 있다는 것을 적극적으로 알려야 한다는 것이다.

한 업계 고위 인사는 “최근 게임중독을 다룬 공중파 방송은 게임산업에 대한 우리 사회의 시선을 여실히 보여줬다”며 “협회 차원에서 게임 역기능을 막기 위해 공동TF를 구성하는 등 여러가지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협회의 목소리가 규제에 대한 막무가내 비판이나 자신들의 목적을 관철하려는 떼쓰기로 비춰지는 것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구체적 반론과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며 “업계 스스로 공부하고 협회의 연구 사업에도 힘을 실어줘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른 관계자는 “게임회사가 사회공헌 활동을 벌이면 보여주기 식이라는 눈초리가 여전히 많다”며 “협회 차원에서 사회적 기업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공헌 활동의 외연을 넓히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자질 논란 ‘시끌’…“힘있는 대기업들 해결사로 나서주길”

협회의 대표성이나 자질 부족 논란은 대형 온라인게임 위주의 조직 구성과 회원사 수에서 비롯된다. 현재 게임산업협회는 87개 회원사로 운영되며, 회장사인 한빛소프트와 넥슨, 엔씨소프트, NHN, 네오위즈게임즈, CJ인터넷 등 9개 메이저사의 부회장사가 활동 중이다.

협회가 비디오게임업체 뿐 아니라 모바일, 소셜 벤처 등 중소게임사들을 회원사로 끌어들이려는 노력이 부족하다는 해석이 잇따르는 배경이다. 게임 플랫폼과 개발 환경 등이 급변하고 있는 만큼 다양한 요구를 담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관련기사

그러나 협회가 업계와 산업 전반을 아우르기 위한 일환으로 무작정 회원사 수를 늘리는 것만이 방법은 아니라는 시각도 있다. 한 중견 게임 회사 간부는 “스스로 돌보고 챙기기도 힘든 중소기업들을 불러내 불만과 요구사항을 말하라고 다그칠 게 아니다”고 말했다.

국내 게임산업을 일군 대기업들이 후발 주자들이 맘놓고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앞장서는 책임의식을 발휘하는 것이 먼저란 설명이다. 그는 “시민사회와 정부를 움직일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진 대기업이 협회 대표직을 맡고 업계 안팎의 조직력을 활용, 산업 발전을 위한 장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