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朴 정부에 소셜커머스란...

기자수첩입력 :2013/04/01 09:13    수정: 2013/04/01 09:18

봉성창 기자

박근혜 정부가 출범 한 달만에 본격적인 경제 챙기기에 나섰다. 대선 과정에서 내건 공약을 바탕으로 수립된 경제 정책을 지난 28일 발표했다.‘창조경제’라는 슬로건 아래 박근혜 정부는 일자리창출, 민생안정, 경제민주화에 방점을 찍었다. 특히 민생안정을 위한 가장 첫 번째 목표는 물가를 잡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명박 정부 시절 도입한 품목별 물가관리를 폐지하고 2%대의 구조적인 물가안정에 주력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박근혜 정부 정책에 딱 맞는 비즈니스 모델이 있다. 바로 ‘소셜커머스’다. 미국서 최초로 시작해 국내에 도입된 ‘소셜커머스’는 소비자들의 열광적인 지지를 받으며 불과 3년 만에 고속 성장을 이뤄냈다. 전 세계적으로 ‘소셜커머스’가 각광받을 수 있었던 배경에는 지속적인 글로벌 경제 침체를 빼놓을 수 없다. 호주머니가 얇아진 소비자들은 조금이라도 돈을 아끼기 위해 소셜커머스를 찾았다. 당시 MB정부는 물가를 잡기 위해 짜장면 가격까지 개입할 정도였다. 아직까지 공식 연구 결과는 나오지 않았지만 지난 3년간 소셜커머스를 통한 체감물가 억제 효과는 결코 적지 않았다. 단순히 싸게 파는 것에 불과하다면 삼겹살을 990원에 파는 대형 할인마트도 물가를 잡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소셜커머스는 조금 달랐다. 가장 먼저 지역 상권으로 달려갔다. 그리고 이렇다 할 마케팅 수단이 없는 소상공인들에게 손을 내밀어 상생을 제안했다. 처음에는 상인들도 반신반의했다. 무작정 싸게 팔다가 멀쩡한 손님만 잃을까 걱정했다. 대부분 동네 고깃집은 돼지고기 값이 폭락해도 대형 마트처럼 무작정 삼겹살 1인분 가격을 내릴 수 없다. 가격을 내린다고 해서 손님이 더 온다는 보장은 없지만, 다시 가격을 올리면 금방 매상이 줄어드는 것을 수차례 몸소 체험했기 때문이다. 소셜커머스는 이들에게 효과적인 마케팅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가격을 할인하면 그만큼 손님이 더 찾을 수 있도록 했다. 스마트폰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상인들이 필요한 시점에 할인 행사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해 테이블 회전율을 극대화하도록 했다. 이처럼 소셜커머스는 물가 안정과 골목 상권 살리기를 통한 경제민주화에 기여한 바가 결코 적지 않다.게다가 소셜커머스는 질 좋은 일자리도 많이 만들어냈다. 상위권 소셜커머스 업체들은 대부분 벤처로 시작해 외국계 기업에서나 볼 수 있는 뛰어난 사내복지와 수준 높은 임금을 지불한다. 고용인원도 결코 적지 않다. 여기에 제 2의 쿠팡, 제 2의 티켓몬스터를 꿈꾸는 창업 열기도 여전히 뜨겁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제를 살리겠다는 이명박 정부가 소셜커머스를 바라보는 시각은 결코 곱지 않았다. 지난 3년간 소셜커머스 산업에 대한 정부의 정책을 보면 진흥은 커녕 규제 일변도였다. 공정거래위원회나 방송통신위원회 등 유관기관들은 유독 소셜커머스에만 엄격한 잣대를 들이댔다. 물론 소셜커머스에게 과오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간혹 의도치 않게 가품을 판매하거나 혹은 일부 영세 소셜커머스 업체의 도산으로 소비자들에게 적잖은 피해도 입혔다. 그러나 이는 모든 신흥 산업이 겪는 성장통이자 시행착오다. 쿠팡, 티켓몬스터, 그루폰코리아 등 선두업체들은 환불이나 반품에 대한 각종 소비자 보호 장치를 마련하는 등 꾸준한 자정 노력을 기울였다. 단순히 과징금 몇백만원이 아까워서가 아니라 지속 가능한 발전을 하기 위한 대승적인 결단이다. 게다가 기존 오픈마켓을 중심으로 한 온라인 상거래 사이트에서도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했지만 유독 소셜커머스만 사기꾼 취급을 당하며 모든 책임을 지게하는 것은 형평성에도 맞지 않다.“진흥할 것인가, 혹은 규제할 것인가”정부에서 특정 산업을 바라보는 시각은 이렇게 두 가지로 갈린다. 박근혜 정부에서 소셜커머스는 과연 어떤 대우를 받을까.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