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공장 직업병 발병 인과 결론 못내"

삼성 옴부즈만위 "화학물질 정보 더 공개해야"

반도체ㆍ디스플레이입력 :2018/04/25 15:46    수정: 2018/04/25 16:32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장 근로자의 직업병 문제를 해결키 위해 구성된 삼성 옴부즈만위원회가 직업병 발병 인과관계에 대해 결론을 내릴 수 없다는 조사 결과를 내놨다.

위원회는 그러면서 향후 반도체 공정과 질병 발생 간의 관련성을 판단하기 위해 삼성전자 반도체·디스플레이 사업장 전·현직자와 보상 대상자를 포함한 코호트(Cohort)를 구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삼성 옴부즈만위원회는 25일 서울대학교 교수회관 컨벤션홀에서 종합진단 보고회를 열고 삼성전자 내 재해관리시스템에 대한 종합진단 결과와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이날 보고회의 요지는 위원회가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장과 공정 중 사용되는 시료를 분석한 결과,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의 검출량이 극히 미량으로 검출됐다는 점이다.

또 위원회는 반도체와 액정표시장치(LCD) 사업장 근로자의 알권리를 보호하고, 산업재해 판단을 위해 작업 환경에서 사용되는 화학물질 정보를 전향적으로 공개할 것을 제안했다.

위원회는 2년에 걸친 조사 과정에서 반도체 공장 근로자의 작업환경 노출과 질병 발생의 연관성과 인과관계를 확인하는 데에 집중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위원회는 암과 백혈병, 비호지킨림프종, 뇌종양, 유방암, 자연유산과의 연관성에 대한 통합요약값인 표준화발생비 와 표준화사망비 등을 산출했다. 그러나 조사 결과 위원회는 통계의 유의성과 연구간 이질성 등의 문제로 인해 반도체 근로자들과 질병 간의 관련성에 대해 결론을 내릴 수 없었다고 강조했다.

삼성 서초사옥. (사진=지디넷코리아)

위원회가 삼성전자의 최근 3년간 작업환경측정 결과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사업장별 유해인자(물리·화학적 인자, 분진 등) 불검출률은 기흥과 화성 79.9%, 온양 71.6%, 아산 73.0% 등으로 나타났다. 검출된 유해인자 중 법적 노출 허용 기준의 10%를 초과한 경우가 없었다는 게 위원회 측 설명이다.

다만 위원회는 "작업환경측정결과를 이용한 노출평가에 한계가 있다"며 "근로자의 직무력과 작업환경 측정결과를 연결하는 직무노출매트릭스(Job Exposure Matrix·JEM)를 구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 등 2차 자료와 연계해 작업환경에서의 유해인자 노출과 특정 질병 발생, 사망 위험 간의 관련성을 장기적으로 추적하자는 것이다.

또 위원회는 반도체의 원재료인 웨이퍼 제조 포토 공정에서 사용되는 감광액 용액 중 벌크시료 54개를 선정해 25종의 유해화학물질 검출여부를 직접 분석했다. 그 결과 벤젠과 에틸렌글리콜류 등 16종은 검출되지 않았다. 또 이 때 검출된 톨루엔과 크레졸-오쏘 등 9종도 극미량 수준이었고, 인체 유해성 판단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수치는 아니었다고 위원회는 분석했다.

위원회 관계자는 "전·현직자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과거 반도체 공정에서는 근로자가 화학물질이나 소음, 냄새 등에 노출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었다"며 "그러나 현재의 자동화 공정에서는 유해물질 노출 가능성이 거의 없을 것으로 판단됐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이철수 위원장(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은 "옴부즈만 위원회는 삼성전자와 가족대책위원회, 반올림의 조정합의에 의해 만들어졌지만, 위원회가 공개하는 연구결과는 삼성전자라는 한 기업에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다"라며 "이는 국내 반도체 산업 전체와, 국민 모두에게 무관하지 않은 인권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위원회 활동을 통해 건강하고 안전한 삼성전자 내부 재해관리 체계가 구축돼야 한다"며 "나아가 우리 사회를 더 안전하게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