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집 고치기와 새 집 짓기, 두 미디어 실험

데스크 칼럼입력 :2014/12/04 17:59

김익현 미디어연구소장 기자 페이지 구독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지난 해 미디어 시장에선 ‘2억5천만 달러 프로젝트’가 화제였다. 첫 테이프는 아마존 창업자인 제프 베조스가 끊었다. 베조스는 지난 해 8월 워싱턴포스트를 2억5천만 달러에 매입했다.

곧이어 이베이 창업자인 피에르 오미다르가 뒤를 이었다. 역시 2억5천만 달러를 쾌척해 새로운 미디어를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오미다르는 미국 국가안보국(NSA) 사찰을 특종 보도한 가디언의 스타 기자 글렌 그린왈드를 스카우트해 화제를 모았다.

베조스와 오미다르는 닷컴 붐을 타고 억만장자가 됐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물론 둘이 다른 점도 있다. 베조스는 여전히 자신이 창업한 아마존을 경영하고 있는 반면, 오미다르는 이베이에서 손을 뗐다.

■ 베조스와 오미다르, 나란히 2억5천만 달러 프로젝트

공교롭게도 이 둘이 똑 같이 2억5천만 달러를 투자한다고 했을 때 난 ‘헌집 고치기’와 ‘새 집 짓기’로 규정한 적 있다. 베조스는 워싱턴포스트란 ‘낡은 집’을 새롭게 리모델링하고 있는 반면, 오미다르는 아예 새로운 집을 짓기로 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난 둘 중 ‘새 집 짓기’ 쪽에 더 많은 기대를 걸었다. 그게 리모델링보다는 훨씬 수월할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제 막 1년이 지난 시점에서 어느 쪽이 성공했는지 따지는 건 다소 성급하다. 당연한 얘기지만, 굳이 둘을 비교할 이유도 없어 보인다.

하지만 둘의 상반된 행보는 꽤 관심을 끈다. 베조스의 ‘헌집 고치기’는 편집국 이외 부분에 집중됐다. 전통 저널리즘의 취약점인 테크놀로지와 콘텐츠 유통 쪽에 주로 손을 대고 있단 얘기다.

베조스가 워싱턴포스트 인수 직후 가장 먼저 한 것은 개발자들을 대거 고용한 것이었다. 최근엔 아마존 태블릿인 킨들 파이어에 워싱턴포스트 기사를 무료 공급하는 패키지 전략을 들고 나왔다. 거대한 아마존 콘텐츠 제국을 철저하게 활용하는 전략인 셈이다.

오미다르는 조금 다르다. 그는 아예 백지에서부터 새롭게 시작했다. 그 일환으로 만든 것이 퍼스트 룩 미디어(First Look Media)다.

그런데 새 집 짓기가 말처럼 쉽진 않은 모양이다. 벌써부터 적잖은 시행 착오들이 눈에 띄고 있다.

오미다르는 지난 7월 말엔 한 차례 전략 수정을 했다. 옴니버스형 사이트를 만드는 대신 특정 토픽 중심 뉴스 사이트를 여러 개 실험하는 쪽으로 방향을 선회한 것. 한 마디로 종합지 형태 대신 특정 공동체를 겨냥한 타깃형 미디어로 승부하겠다는 얘기인 셈이다.

이런 전략의 연장선상에서 나온 것이 탐사보도 전문 사이트인 인터셉트와 정치 풍자 사이트 라킷(Racket)이었다. 인터셉트는 퍼스트룩 미디어의 간판인 글린 그렌왈드가 주도하고 있다. 반면 라킷은 대중문화 전문잡지 ’롤링 스톤’의 간판이던 맷 타이비에게 맡겼다.

■ 퍼스트 룩 미디어, 연이어 들리는 잡음

그런데 최근 이 부분에 균열이 생겼다. 맷 타이비가 사사건건 간섭하는 경영진과 갈등 끝에 퍼스트룩 미디어를 떠난 것. 그런데 그 선에서 머무르지 않았다. 결국 타이비가 이끌던 라킷 프로젝트 자체를 접어 버렸다. 새 집 짓기란 꿈을 안고 동참했던 상당수 기자들이 일자리를 잃게 된 것이다.

지난 10월엔 자문 역할을 했던 제이 로젠 교수도 떠났다. 뉴욕대 교수인 제이 로젠은 미국 시민 저널리즘 최고 이론가로 꼽히는 인물이다. 그 역시 퍼스트 룩 미디어를 떠난 구체적인 이유는 밝히지 않았다. 하지만 조직 내에서 자신의 역량을 발휘할 여지가 별로 많지 않았다는 판단을 했을 가능성이 많아 보인다.

미국 주요 언론들도 오미다르의 퍼스트 룩 미디어 실험에 대해 의구심어린 시선을 계속 보내고 있다. 억만장자가 여전히 실험만 계속하고 있다고 꼬집는 언론도 적지 않다.

2억5천만 달러 짜리 프로젝트로 관심을 모았던 제프 베조스와 피터 오미다르. 둘의 ’헌집 고치기’와 ‘새 집 짓기’는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따라서 지금 시점에서 성패를 논하는 것은 섣부르다. 아직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

하지만 제대로 가고 있는지 판단해 볼 순 있다. 순전히 개인적인 의견이란 전제 하에 한번 평가해보자.

베조스의 ‘헌집 고치기’는 한 발 한 발 전진해나가고 있는 것 같다. 핵심 상품을 뒤흔들기보다는 약점을 보완하는 쪽으로 찬찬히 전개하고 있는 느낌도 든다.

반면 오미다르의 ‘새 집 짓기’는 여전히 미궁 속에 빠진 느낌이다. 땅만 계속 파고 있다는 생각이 들 정도다. 자율권보다는 관리 욕심이 지나치게 앞선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될 정도다.

■ 미디어 혁신과 관리, 그 경계선은?

둘의 차이는 뭘까? 순전히 보도된 내용만으로 판단한다는, 그래서 부정확할 수도 있다는 전제를 깔고 얘기해보자.

관련기사

베조스는 혁신을 하되 조직의 자율성은 최대한 보장해주는 듯한 느낌이 든다. 적어도 겉보기엔 그렇다. 반면 오미다르는 ‘새 집 짓기’를 하면서 하나부터 열까지 관리를 하고 있는 듯한 모습이다. 그 부분에서 갈등이 생기고 있는 것 같단 얘기다.

그 차이가 내겐 꽤 중요하게 다가온다. 어쩌면 새로운 미디어 실험에서 중요한 체크포인트가 될 수도 있을 듯 해서다. 내가 오미다르의 ‘퍼스트 룩 미디어’ 동향에 자꾸만 귀를 기울이게 되는 것도 그 때문이다.

김익현 미디어연구소장sini@zdne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