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론-푸딩-카톡 공통점? “아! 이거”

일반입력 :2012/03/21 17:29    수정: 2012/03/21 17:34

정현정 기자

멜론, 푸딩, 초콜릿, 카카오…

이 단어들의 공통점을 단순히 음식 이름으로만 꼽는 이들은 많지 않을 게 분명하다. 먹거리를 브랜드명으로 사용한 대표적인 IT 서비스다. 2000년대 중반 음식이름으로 서비스명을 짓는 열풍이 분데 이어, 최근에는 카카오톡이 그 계보를 잇고 있다.

무엇보다 맛있는 음식 이름으로 브랜드명을 지으면 이용자들의 흥미를 돋구고 자칫 딱딱하거나 차가울 수 있는 IT 서비스에 대한 친근감도 높여주기 때문에 특히 인터넷 기업들이 선호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한때 음식이름으로 서비스명 짓기 열풍이 불었다 면서 2000년대 시작된 서비스 중 지금까지 살아남은 서비스는 푸딩과 멜론 정도가 꼽힌다”고 말했다.

지난 2004년 SK텔레콤이 만든 음악포털 사이트 멜론은 당시 진짜 멜론에 헤드폰 잭을 꽂자 흥겨운 힙합 음악이 흘러나오는 내용의 TV 광고로 주목받으며 대표적인 음악 서비스로 성장했다.2007년 포털사이트 파란이 시작한 사진 공유 서비스 ‘푸딩’은 ‘Photo Up and Down’에 현재진행형 ‘ing’를 합성한 이름이다. 푸딩얼굴인식, 푸딩카메라, 최근 푸딩.투까지 푸딩시리즈를 연이어 성공시키며 모바일까지 영향력을 확대하는데 성공했다.

최근 착실히 이 계보를 잇고 있는 서비스는 출시 2년 만에 4천만이 넘는 가입자를 모으며 명실상부한 국민앱으로 자리잡은 ‘카카오톡’이다.

카카오는 초콜릿의 원료로 쓰이는 나무 열매에서 따왔다. 모바일 채팅을 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로 방향을 잡은 후 달콤하고 예쁜 대화라는 의미에서 나온 아이디어다.

원래 영문 명칭은 ‘cacao’가 맞지만 중복되는 도메인을 피하다보니 ‘kakao’가 됐다. 지난 2010년 서비스 출시 당시 회사명은 아이위랩이었지만 카카오톡이 ‘대박’을 치면서 회사명도 주식회사 카카오로 바꿨다.

그렇다고 음식 이름을 사용한 모든 모든 서비스가 대성공을 거둔것은 아니다. 과거의 영광을 간직한 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서비스도 있다.

KT의 유무선 동영상 포털 서비스 ‘토스트’는 갓 구워낸 토스트처럼 따끈따끈한 동영상을 제공한다는 의미를 담았지만 큰 재미를 보지 못하고 사라졌다. KT의 음악사업 서비스 브랜드인 ‘도시락’은 멜론에 치여 그닥 큰 재미를 보지 못하다가 지난해 ‘올레뮤직’으로 브랜드명을 바꾸고 서비스를 확대 개편했다.

LG전자의 대표작 ‘초콜릿폰’도 톡톡한 브랜딩 마케팅 효과를 보며 2천만대 이상 팔려나가는 기염을 토했지만 스마트폰 열풍이 시작된 이후 과거 영광을 재현하지 못하고 있다.이 밖에 오렌지 알갱이처럼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 수많은 파일들을 공유하겠다는 뜻을 담아 만든 P2P사이트 ‘오렌지파일’과 엽기와 유머, 패러디 사이트 풀빵닷컴도 먹거리 브랜딩으로 인지도를 올린 사례다.

비단 국내 뿐만 아니다. 과일 ‘망고’는 마이크로소프트(MS)의 최신 모바일 운영체제(OS) 윈도폰 7.5의 코드명이다.

관련기사

구글은 각종 디저트 이름을 알파벳 순서에 맞춰 OS의 코드명으로 쓰고 있다. 알파벳 C는 ‘컵케이크’, D는 ‘도넛’, E는 ‘이클레어’, F는 ‘프로요(얼린 요거트)’, G는 ‘진저브레드’, H는 ‘허니콤’이다. 최신 안드로이드 OS의 이름은 I로 시작하는 ‘아이스크림 샌드위치’, 차기 OS 명칭은 J로 시작하는 ‘젤리빈’으로 정해졌다.

업계 관계자는 “무엇보다 음식이름을 서비스 명칭으로 사용하면 딱딱하고 차가운 기계제품의 이미지에서 벗어나 사용자들에게 친근하게 다가설 수 있고 초반 인지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면서 외우거나 부르기 쉽고 감성마케팅도 가능해진다는 점도 인터넷 기업들이 선호하는 이유”라고 설명했다.